고향에 장학사업 펼치는 제일동포 도금인 / 표면처리세계 제공
보성군 255명 학생에게 8500 만원 전달
김옥남 광남공업 회장
김옥남 광남공업 회장
제일동포 도금인인 김옥남(95세) 광남공업 회장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격는 보성군의 학생에게 858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지난 4월 보성남초등학교 체육관레서 군수와 교육관계자 등 500 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거행된 장학금 전달식에서 김옥남 회장은 초등학교 학생 50 명에게 15만원씩, 중학교 학생 80 명에게 30만원씩, 고등학교 학생 80 명에게 50만원씩, 기타 1,430 만원 등 255 명의 학생에게 총 8580 만원을 전달했다.
김옥남 회장은 전달식에서 "학생들에게 학업성취 의욕과 자활 의욕을 고취시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할 유능하고 우수한 인재를 발굴 육성하기위해 장학회를 설립했다"며 "앞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국가를 빛내는 훌륭한 사람이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2002년부터 해마다 보성군 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하는 김옥남 회장은 일본에서 자수성가한 도그인으로 도금조합과 전도련의 한/일 정기회에도 참석하는 등 낮익은 인물이다.
보성읍 용문리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김 회장은 어릴때부터 가족의 생계를 돌보느라 공부할 기회를 놓쳐 15살이 돼서야 보성보통학교(현 보성초등학교)의 문을 두둘렸으나 거절당했다.
읍내의 미곡상회에서 종업원으로 일한 김회장은 일본에 가면 공부할수 있고 돈도 벌수 있다는 미곡상회의 주인의 이야기를 듣고, 쌀 한가마니 값의 여비와 주먹밥을 허리춤에 차고 20세가 되던 해에 여수에서 밀항선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그러나 들었던것처럼 일본 생환은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말도 통하지 않은데다 아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다. 한국인에 대한 멸시와 학대도 참아내야 했다. 낮에는 손수레를 끌며 고물을 주어 팔고 철공소 직공, 잡부 노릇등 닥티는 대로 일을 했다.
김회장이 경영하는 광남공업은 혼다자동차, TV수상기, 냉장고 등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을 도금하는 업체로, 일본의 장기적인 불황에도 꿋꿋한 성장세를 타고 있다.
"가진것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고향을 돕는 것이 인간의 도리"라고 강조하는 김회장은 지금부터 40여년전인 60년대부터 고향 돕기에 나서, 전기가 들어 오지않는 고향마을 전체에 2억4천마원 상당의 전기시설을 해주었다.
또 전남도의 행정용 헬기구입 기금지원을 요청 받고 협찬 했고, 보성중학교 도서관 신축기금 지원과 보성군 공공도서관 신축을 위한 부지도 매입해 희사 했다.
지난 1982년 태풍 "에그니스"로 고향이 피해를 입자 위문금은 물론 담요와 의류 수천점을 직접 가지고 나와 도움을 주었으며, 보성 오인회관 신축 협찬금과 보성읍 향교 외삼문 신축기금, 보성여성 노인회관 신축기금 등 고향에서 도움을 요청하면 흔쾌히 응햇다.
일본어서 도금업으로 성공해 고향에 배푼 것이다.
표면처리세계 2008년 8월 30일 제18호
관리자 님의 최근 댓글
우선 2가지원으로 압축됩니다.. 1. 유기물오염이나 활성탄 처리불량 2. 염소이온부족 1의 경우 정상적인 활성탄 처리를 해야 합니다. 황산구리 도금 광택제에는 미량성분이 있습니다. 활성탄처리 시간이 짧거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경우에 첨가제농도가 일정치 않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험실에서는 충분한 온도(40도이상)와 처리시간(30분이상)을 두고 실험하십시요. 2의 경우 황산구리도금액중 필수요소로 소량의 염소이온이 필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20~80 ppm이 필요로하며 최대 200 ppm 이하로 사용됩니다. 염산 혹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200 ppm 이상에서는 양극에 통전방해 막이생겨 도금석출을 방해하므로 과량투입은 주의하여야 합니다. 위의 헐셀 상태로보면 활성탄처리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쪽이 더 큰 원인으로 보입니다. 관리자 ... 2018 01.12 핏트와 핀홀은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1. 소재의 지나친 산세로 인하여 소재가 침식된 경우는 핀홀이 발생하며, 2. 탈지불량에 따른 피트의 발생이 있으며, 3. 니켈도금에서도 피트가 발생할수도 있스며, 4. 황산동 도금액중 불순물로 인한 피트와, 고전류 작업에 의한 피트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5. 또한 사용약품의 불순물과 이에 따른 여과불량이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소재에 의한 문제가 아니라면, 도금액의 여과불량 원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관리자... 2016 10.20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학(Immersion)도금은, 일정 두께에 도달하면 더이상 도금은 진행되지 않아, 두꺼운도금을 할수 없습니다. 그 이후에 계속 침지되면 화학작용으로 소재와의 밀착력이 나빠지게 되어, 변색의 원인이 됩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하지도금(니켈,구리 등)이 없을때 화학도금과 같이, 두께가 얇은 피막은 소재에 도금층이 확산되어 변색이 될수도 있으며, 석 합금등의 도금은 공기중의 가스와 습기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될수도 있습니다.. 관리자.. 2016 10.20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결론적으론 물성에 근 변화를 주지는 못합니다. 전기도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중의 하나가 공급되는 전류(전압)입니다. 도금은 파라데이법칙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른 금속이 석출됩니다. 따라서 전기(전류)가 어느정도 물성에 영향을 줄수는 있으나(주로 외관), 정류기에 따른것은 아니고(한부분), 작업환경(도금액 등)에 따른 변화가 도금에 영향을 줄수는 있습니다. 정전류 정전압 정류기는 말그대로 정전류와 정전압을 공급합니다. 정전압으로 세팅되면 부하가 아무리 변하여도 전압은 그대로이며, 전류는 액중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 정전류는 전류를 고정시키므로 도금면적이 계속 늘어도 전류가 증가되지 않습니다. 이때 전류는 부하(저항)에 따라 정해진 전류 크기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므로 (정전압정전류 정류기는 작업중 전류와 전압을 올리고 내리는 일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것이므로) 일반 정류기에서 전압올리고 내리는 경우와 전류 변화할 때 발생되어 일어나는 물성의 영향 외는 도금 제품의 특성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다만 펄스정류기(PR) 또는 역펄스정류기(PPR)를 사용한다면 물성까지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리자.. 2015 05.15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엔지니어링 프리스틱등의 도금은 ABS의 공정과 유사합니다 이들 수지는 ABS에 사용되는 황산-크롬산 에칭외에 소재를 침식할수 있는 적합한 프리에칭을 적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plating.kr에 엔지니어링프라스틱의 도금과 관련된 검색내용 입니다. http://plating.kr/index.php?mid=search&search_keyword2=%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ED%94%84%EB%9D%BC%EC%8A%A4%ED%8B%B1&search_target=and3 감사합니다. 2014 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