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이북권 도금업체 하나로 뭉쳤다
정보교류, 권익보호 위해 ‘경도련’ 발기
단지마다 1개 업체 이상이 회원으로 참여
구매단가 공유하고 가격경쟁 지양
한강이북지역 도금업체들이 정보교류와 친목도모, 권익보호 등을 위한 경도련(경기북부도금연합회․회장:진남진)을 만들고 활동에 들어갔다.
지난해 5월 진남진 삼희도금사장과 윤희탁 현대도금사장 등 5명이 중심되어 출발한 경도련에는 24명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데 한강이북권에 산재한 도금단지 가운데 1개 이상의 업체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정보교류 차원에서 약품의 구매단가를 공유하고 있으며, 표면처리 관련 기술세미나와 환경관련 정보 등을 수시로 교환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회원업체간의 유대강화를 위해 발주업체의 거래처 이동과 회원의 가격경쟁, 종사자의 이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으며 불가항력의 상황이 발생할 때에는 사전에 동의를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경도회는 이를 실천에 옮기고 있는데 지난 월례회에서는 발주업체의 부적절한 거래처 이동을 막기 위해 회원사간의 이동은 상식적인 범위에서 조율하고, 비회원사의 거래처 침범에 대해서는 모임 차원의 조직적인 대응을 모색키로 하는 심도 깊은 논의를 가졌다.
또 정보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본지를 정기 구독키로 하고, 표면처리정보센터가 재능대에서 가진 자동차부품 관련 기술세미나에 참석했으며 환경부의 업종별 폐수배출 차별적용안이 알려지자 비대위의 회의에 참석하고 활동자금을 쾌척해 힘을 실어 주기도 했다.
경도련의 윤희탁 총무는 “한강이북권의 도금업체들은 수도권에 있으면서 인천이나 안산, 시화지역의 도금업체 달리 정보 사각지대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도련을 만들게 되었는데 기회를 만들어 한강이남지역에 있는 도금인과 만남의 장도 마련하고 싶다”는 뜻을 전해 왔다.
GoldBuG 님의 최근 댓글
우선 2가지원으로 압축됩니다.. 1. 유기물오염이나 활성탄 처리불량 2. 염소이온부족 1의 경우 정상적인 활성탄 처리를 해야 합니다. 황산구리 도금 광택제에는 미량성분이 있습니다. 활성탄처리 시간이 짧거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경우에 첨가제농도가 일정치 않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험실에서는 충분한 온도(40도이상)와 처리시간(30분이상)을 두고 실험하십시요. 2의 경우 황산구리도금액중 필수요소로 소량의 염소이온이 필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20~80 ppm이 필요로하며 최대 200 ppm 이하로 사용됩니다. 염산 혹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200 ppm 이상에서는 양극에 통전방해 막이생겨 도금석출을 방해하므로 과량투입은 주의하여야 합니다. 위의 헐셀 상태로보면 활성탄처리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쪽이 더 큰 원인으로 보입니다. 관리자 ... 2018 01.12 핏트와 핀홀은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1. 소재의 지나친 산세로 인하여 소재가 침식된 경우는 핀홀이 발생하며, 2. 탈지불량에 따른 피트의 발생이 있으며, 3. 니켈도금에서도 피트가 발생할수도 있스며, 4. 황산동 도금액중 불순물로 인한 피트와, 고전류 작업에 의한 피트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5. 또한 사용약품의 불순물과 이에 따른 여과불량이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소재에 의한 문제가 아니라면, 도금액의 여과불량 원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관리자... 2016 10.20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학(Immersion)도금은, 일정 두께에 도달하면 더이상 도금은 진행되지 않아, 두꺼운도금을 할수 없습니다. 그 이후에 계속 침지되면 화학작용으로 소재와의 밀착력이 나빠지게 되어, 변색의 원인이 됩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하지도금(니켈,구리 등)이 없을때 화학도금과 같이, 두께가 얇은 피막은 소재에 도금층이 확산되어 변색이 될수도 있으며, 석 합금등의 도금은 공기중의 가스와 습기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될수도 있습니다.. 관리자.. 2016 10.20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결론적으론 물성에 근 변화를 주지는 못합니다. 전기도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중의 하나가 공급되는 전류(전압)입니다. 도금은 파라데이법칙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른 금속이 석출됩니다. 따라서 전기(전류)가 어느정도 물성에 영향을 줄수는 있으나(주로 외관), 정류기에 따른것은 아니고(한부분), 작업환경(도금액 등)에 따른 변화가 도금에 영향을 줄수는 있습니다. 정전류 정전압 정류기는 말그대로 정전류와 정전압을 공급합니다. 정전압으로 세팅되면 부하가 아무리 변하여도 전압은 그대로이며, 전류는 액중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 정전류는 전류를 고정시키므로 도금면적이 계속 늘어도 전류가 증가되지 않습니다. 이때 전류는 부하(저항)에 따라 정해진 전류 크기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므로 (정전압정전류 정류기는 작업중 전류와 전압을 올리고 내리는 일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것이므로) 일반 정류기에서 전압올리고 내리는 경우와 전류 변화할 때 발생되어 일어나는 물성의 영향 외는 도금 제품의 특성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다만 펄스정류기(PR) 또는 역펄스정류기(PPR)를 사용한다면 물성까지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리자.. 2015 05.15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엔지니어링 프리스틱등의 도금은 ABS의 공정과 유사합니다 이들 수지는 ABS에 사용되는 황산-크롬산 에칭외에 소재를 침식할수 있는 적합한 프리에칭을 적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plating.kr에 엔지니어링프라스틱의 도금과 관련된 검색내용 입니다. http://plating.kr/index.php?mid=search&search_keyword2=%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ED%94%84%EB%9D%BC%EC%8A%A4%ED%8B%B1&search_target=and3 감사합니다. 2014 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