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도금 인바합금 제조방법 개발 [2018.9]
머릿말 | 신기술 |
---|---|
년월호 | 2018년 9월 |
순천대 박용범 교수연구팀
전주도금을 응용해 판재로 생산하거나. 패턴된 음극의 형상을 그대로 복제할 수도 있는 새로운 '인바합금 제조방법을 개발했다고 순천대학교 박용범 교수연구팀이 밝혔다. 1897년 프랑스 학자 기욤(C. E. Guillaume)은 36% 니켈을 함유하는 철합금은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열팽창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발견했고, 그 공로로 192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이 합금은 불변강(invariable steel)이란 의미에서 유래된 ►인바 (Invar)라는 별칭으로 더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노벨상을 받은 모든 주제들은 그 원리가 분명하게 밝혀졌지만, 인바의 저열팽창 특성은 완전하게 해명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다.
'인바 특이성'이라 불리는 이 현상을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용범 교수 연구팀이 노벨상 수상 98년 만에 완벽하게 밝혔다. 인바를 생산하는 기존방법은 철과 니켈광석을 녹여서 만든 쇳물을 응고시킨 다음 압연하여 얇은 판재로 제작한다.
그러나 이번에 박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전주도금을 응용하여 판재로도 생산할 수 있고, 패턴된 음극의 형상을 그대로 복제할 수도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전주도금 인바는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알지비 올렛 (RGB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산업체에서 개발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소재다.
빨강(R) 초록(() 파랑(B) 빛을 발광하는 다이오드 물질을 유리기관의 정확한 위치에 증착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메탈마스크는 증착공정에서 온도가 올라가도 열팽창이 일어나지 않는 인바로 만든다.현재는 압연방법으로 생산되는 인바를 사용하고 있는데, 고화질의 영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OLD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메탈마스크의 두께가 현재의 반 수준인 7마이크론 정도로 얇아져야 한다.
이 정도 두께의 인바를 만들려면 탑-다운(top-down) 방식인 기존의 압연방법으로는 불가능하고, 보텀-업 (botom-up) 기술인 전주도금만이 가능한 방법이다.현재 RGB타입 OLED 디스플레이 세계시장의 약 95%을 독점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이 생산공정에 필요한 메탈마스크 전량을 일본 히다치(Hitachi)금속이 생산한 압연 인바를 일본 다이니폰프린팅(DNP)에서 에칭공정을 통해 만든 완제품 형태로 비싼 가격에 수입하고 있다.
문제는 이 메탈마스크가 OLED 디스플레이 생산에서 병목기술 (botle-neck technology)이라는 점이다. 미국의 애플과 중국의 화웨이도 OLED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에 적용하기 시작하는 2018년 세계시장 규모가 364억달러(약39조원)로 수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외 관련 업계는 전주도금 인바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최초로 전주도금 인바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공개한 박 교수는 "전주도금 인바에 대한 일본의 연구 수준이 우리 연구팀 턱 밑까지 쫓아왔고, 중국은 대규모 자본을 앞세워 개발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학계가 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지난 20년 가까이 연구해 구축한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논문을 통해 공개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모험연구 프루젝트로 수행된 이 논문은 5월 4일자 국제학술지 '코팅스(Coatings)' 특집호의 대표논문으로 실렸다.
화양별곡 님의 최근 댓글
양극산화(알마이트) 처리된 알루미늄의 산화 피막의 일반적인 제거 방법은 가성 소다(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한다. 이 방법으로는 약 50°C의 가성소다 욕에 부품을 침지하면 산화 피막을 제거할 수 있다. 복잡한 부품도 효과적으로 용액이 표면에 닿는 한 균일하게 박리를 할 수 있다. 2025 06.10 연마 벨트를 사용하는 공정을 연마라고 하며, 브러시 또는 라이닝 마감처리 하며, 화합물이 적용된 천 바퀴를 사용하는 공정을 버핑이라 하며 소재의 스크래치 등을 제거하고 밝은 광택 마감 처리도 한다. 버핑 공정은 일반적으로 버핑 전에 표면 미세화 연마를 필요로 한다. 연마는 벨트 또는 디스크에 의한 표면을 평평하게 하고, 긁힘, 피트, 스케일 등을 제거하매, 소재 긁힘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연마한다. 연마 단계는 용접부 및 평탄화를 위해 제거하거나 표면 불완전성 등을 제거에는 연마제를 사용한다. 이후 공정은 첫 번째 연마 스크래치 라인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버핑은 미세 연마 화합물이 함침된 회전 천 휠로 금속과 복합 재료로 광택 마감 처리한다. 버프 휠에는 액체 루지 또는 화합물이라고 하는 특수 미세 연마제 화합물 기반의 재료가 함침되어 있다. 화합물은 회전하는 버핑 휠에 분사되거나 가압된다. 버프 휠은 화합물의 운반체 역할을 하며, 궁극적으로 표면 마감 처리를 한다. 2025 01.30 설파민산니켈욕의 염화물 이온은 양극 효율을 돕기 위해 소량의 염화니켈을 사용합니다. 염화물 이온의 단점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니켈 석출피막의 인장 강도도 증가하게 됩니다다. 이로 인해 도금피막의 응력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액의 염화니켈 농도 (10.15 g/L)가 높은 편이므로 줄여야 합니다. 염화물 농도를 줄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도금액을 희석하여 부족한 다른 염을 보충하여 조정하는 것입니다. 도금 작업중 염화물 농도가 높아지는 원인은 1) 분석등의 오류로 추가 첨가된 염화니켈 2) pH 조절을 위해 염산 사용 3) 드래그인 및 드래그-인 아웃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4 03.15 직류 직류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표면에 균일한 산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피막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의 양극산화에 표준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1 균일한 산화 피막 형성 2 피막의 두께 조절 용이 3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 4 장식용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균일하고 아름다운 색상 5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 부품의 경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산화 피막 교류 전류의 방향이 일정한 주기로 바뀌기 때문에, 산화 피막의 형성 속도가 직류에 비해 빠릅니다. 따라서 단시간에 두꺼운 산화 피막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전기 화학 반응을 촉진하여 피막의 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1 빠른 산화 피막 형성 2 두꺼운 산화 피막 형성 3 경도 높은 산화 피막 형성 4 전기 부품 2023 12.26 금도금의 외관이 변색 되는 주원인은 하지소재에 금도금이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금도금 피막은 공기중에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변색되지 않습니다. 특히 아연 · 구리 등의 소재에는 후도금을 필요로 합니다. 확산을 방지하려면 소재에 니켈도금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금도금이 장식용 악세사리라면 알러지 문제로 니켈도금을 할수 없습니다. 팔라듐 등의 도금도 가능하나 고가이며, 대체도금으로 구리-주석-아연 합금도금을 할 수 있습니다. 2023 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