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
  • 경기도 환경관리사업소 오염물질 배출업소 점검

    • 2017.11.15 2017.03.01 127
머릿말 2017년 2월호

무단방류한 포스업체 적발

위반 사업장 홈페이지에 공개

 

경기도 공단환경관리사업소는 2016년 한 해 동안 산업단지 내 5,609개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를 점검해 환경법을 위반한 300개 업소(5.3%)를 적발 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도 공단환경관리사업소는 ▲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41개 업소에게 개선명령 ▲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비정상 가동한 67개 업소에 조업정지 ▲ 배출시설 인 허가를 득하지 않고 조업한 87개 업소에 사용중지 ▲ 기타 경미한 사항을 위반한 105개 업소에 경고 등 위반업소 300곳을 대상으로 행정처분을 내렸다.

 
특히 중대한 환경오염을 발생시켰다고 판단되는 ▲ 대기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 또는 신고 미이행 87개 업소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비정상 가동한 65개 업소 ▲공공수역 수질오염13개 업소 등 165개 업소를 사법기관에 수사 의뢰하고, 위반 사업장명, 소재지, 대표자, 업종, 위반행위, 조치내용 등을 경기도 홈페이지에 30일간 공개 조치했다.
 

주요 적발사례로 포승국가산업단지와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8개 업체에서 처리하지 않은 크롬 도금폐수를 하천으로 무단방류한 업체가 적발됐다. 이밖에도 경기도 환경관리사업소는 지난해 야간과 휴일등 취약시간대 환경오염 불법행위 근절을 위해 '24시간 대기특별대책반'을 운영했다.

 

대기특별대책반은 총 487회 순찰을 실시해 946개 업소를 점검했으며 이중 29개 업소를 적발해 고발 및 행정 처분했다. 또한 지난해 산업단지 최초로 입주하는 436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컨설팅을 실시했다.

 

환경오염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업체가 지켜야 하는 일 등을 다뤘으며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98.5% 사업장이 '매우만족'에 응답하며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경기도 공단환경관리사업소 관계자는 미세먼지에 대한 환경과관리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이 밀집돼 있는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환경오염 행위에 대한 지도 점검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도 점검 뿐만아니라 지속적인 환경컬설팅도 병행해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 했다.

 

환편, 경기도공단환경관리사업소는 지속적인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2017년 ▲산업단지 미세먼지 저감대책 ▲도민이 참여하는 환경감시 네트워크 구축 운영 ▲ 신규사업장 환경컨설팅 ▲산업단지 주변 하천 수질감시 ▲ 반월 시화공단  민간 환경감시단 운영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GoldBuG 님의 최근 댓글

우선 2가지원으로 압축됩니다..   1. 유기물오염이나 활성탄 처리불량 2. 염소이온부족 1의 경우 정상적인 활성탄 처리를 해야 합니다.   황산구리 도금 광택제에는 미량성분이 있습니다. 활성탄처리 시간이 짧거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경우에 첨가제농도가 일정치 않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험실에서는 충분한 온도(40도이상)와 처리시간(30분이상)을 두고 실험하십시요.   2의 경우 황산구리도금액중 필수요소로 소량의 염소이온이 필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20~80 ppm이 필요로하며 최대 200 ppm 이하로 사용됩니다. 염산 혹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200 ppm 이상에서는 양극에 통전방해 막이생겨 도금석출을 방해하므로 과량투입은 주의하여야 합니다.   위의 헐셀 상태로보면 활성탄처리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쪽이 더 큰 원인으로 보입니다. 관리자 ...   2018 01.12 핏트와 핀홀은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1. 소재의 지나친 산세로 인하여 소재가 침식된 경우는 핀홀이 발생하며, 2. 탈지불량에 따른 피트의 발생이 있으며, 3. 니켈도금에서도 피트가 발생할수도 있스며, 4. 황산동 도금액중 불순물로 인한 피트와, 고전류 작업에 의한 피트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5. 또한 사용약품의 불순물과 이에 따른 여과불량이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소재에 의한 문제가 아니라면, 도금액의 여과불량 원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관리자...   2016 10.20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학(Immersion)도금은, 일정 두께에 도달하면 더이상 도금은 진행되지 않아, 두꺼운도금을 할수 없습니다. 그 이후에 계속 침지되면 화학작용으로 소재와의 밀착력이 나빠지게 되어, 변색의 원인이 됩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하지도금(니켈,구리 등)이 없을때 화학도금과 같이, 두께가 얇은 피막은 소재에 도금층이 확산되어 변색이 될수도 있으며, 석 합금등의 도금은 공기중의 가스와 습기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될수도 있습니다..   관리자.. 2016 10.20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결론적으론 물성에 근 변화를 주지는 못합니다.   전기도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중의 하나가 공급되는 전류(전압)입니다. 도금은 파라데이법칙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른 금속이 석출됩니다. 따라서 전기(전류)가 어느정도 물성에 영향을 줄수는 있으나(주로 외관), 정류기에 따른것은 아니고(한부분), 작업환경(도금액 등)에 따른 변화가 도금에 영향을 줄수는 있습니다.   정전류 정전압 정류기는 말그대로 정전류와 정전압을 공급합니다. 정전압으로 세팅되면 부하가 아무리 변하여도 전압은 그대로이며, 전류는 액중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 정전류는 전류를 고정시키므로 도금면적이 계속 늘어도 전류가 증가되지 않습니다. 이때 전류는 부하(저항)에 따라 정해진 전류 크기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므로 (정전압정전류 정류기는 작업중 전류와 전압을 올리고 내리는 일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것이므로) 일반 정류기에서 전압올리고 내리는 경우와 전류 변화할 때 발생되어 일어나는 물성의 영향 외는 도금 제품의 특성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다만 펄스정류기(PR) 또는 역펄스정류기(PPR)를 사용한다면 물성까지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리자.. 2015 05.15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엔지니어링 프리스틱등의 도금은 ABS의 공정과 유사합니다 이들 수지는 ABS에 사용되는 황산-크롬산 에칭외에 소재를 침식할수 있는 적합한 프리에칭을 적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plating.kr에 엔지니어링프라스틱의 도금과 관련된 검색내용 입니다.   http://plating.kr/index.php?mid=search&search_keyword2=%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ED%94%84%EB%9D%BC%EC%8A%A4%ED%8B%B1&search_target=and3   감사합니다.     2014 07.25
by Orange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