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사항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목차...
수정탈지 Degreasing / Cleaning
탈지는 금속 등을 가공 처리후 물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 등의 유기물질과 금속가루, 연마재, 먼지 등과 같은 무기물질을 표면에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도금에서는, 탈지에 의한 전처리가 제품의 수명 또는 외관을 좌우하는 중요 공정이다.
수정탈지의 원리
금속면 등에 부착되어 있는 기름이나 경유 등으로 만든 동식물유와 그리스, 파라핀 등과 같은 광물유가 있다.
동식물유
가성소다 등의 알카리와 가열하면 기름은 비누와 글리세린으로 분해되고 물에 용해하여 분산되어 용이하게 금속면에서 제거된다.
광물유
규산소다계의 알카리를 사용하고 이것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기름을 유화시켜서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 때의 수세하는 수질이 경수라면 물에 용해되지 않는 금속 비누가 생겨 금속면에 부착하는 일이 있다. 또한 수세가 불충분 할 때에는 산세척 할 때에 비누가 기름으로 되돌아가서 금속면에 부착되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용제 탈지
유지 종류를 용해하는 용제를 사용하여 금속면으로 부터 유지를 용해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항상 새로운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완전하게 유지를 제거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증기 세정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용제에 계면활성제를 조합한 것이 에멀젼 탈지로, 케로신, 나프타 등의 유화되기 쉬운 용제를 사용한다. 유지는 이러한 유화성 용제 중에 분산되고 수세후 유화되어 오염된 것이 세척된다. 유지에 알카리나 경수의 연화제를 가할 수도 있다.
수정탈지종류
수정탈지제의 주 성분
- 계면활성제 : 비이온계, 양온계, 음이온계
- 빌더 : 무기계 규산염, 인산염, 탄산염, 가성소다, 유기계 키레이트제, 인히비터
- 보조제 : 소포제, 방청제, 유수분리제 등
- 참고 탈지제
수정탈지용 알카리염의 특성
- NaOH • 0~30 % • pH 13.4
- 유지의 검화, 통전, 비철의 용해
- 동일농도의 알카리중 가장 높은 pH
- 가장 저렴한 알카리 공급원
- 공업용품의 순도는 97~98% (잔량 탄산소다)
- 전알카리도 77.1 • 활성알카리도 76.1 • pH 12.8 • 표면장력 46.2
- Na2CO3 • 0~30 % • pH 10~12
- 일반적으로 소다회라 부른다
- 10 분자의 결정수를 가진것은 세척소다
- 검화성은 거의 없지만 유지의 pH 조정작용
- 완충제, 분말성장개선, 증량제
- 전 알카리도 60.9 • 활성알카리도 38.7 • pH 11.2 • 표면장력 48.2
- Na3PO4 12H2O • 0~20 %
- 습윤작용이 있다
- pH 가 높아도 알루미늄 아연 소재부식이 적다
- 비철금속용 세척제로 이용
- 경수연화작용이 있어 수질이 나쁜 용수에 적합
- 전 알카리도 18.9 • 활성알카리도 10.4 • pH 11.2 • 표면장력 60.9
- Na4P2O7 10H2O
- 삼인산소다와 동일
- 전 알카리도 15.0 • 활성알카리도 5.1 • pH 9.2 • 표면장력 64.4
- Na4SiO4 • 10~30 %
- NaOH 다음으로 높은 pH
- 검화 침투 유화력이 크다
- 혼탁물질에 대한 세척력도 양호
- 단일 수용액도 우수한 세척작용
- 전 알카리도 48.1• 활성알카리도 46.1• pH 12.6 • 표면장력 51.5
- Na3SiO3 5H2O• 20~50 %
- 습윤유화작용이 좋으며, 검화성이 있다
- 콜로이드형의 혼탁물질이 물리적오염을제거하는 보조제로 사용된다.
- 전 알카리도 29.2 • 활성알카리도 28.0 • pH 11.4 • 표면장력 52.9
- 1~15 %
- 오염물의 제거 (습윤, 침투, 분산, 유화, 발포작용)
- 0~10 %
- 작업시의 발포방지
수정계면활성제의 작용
- 습윤 침투작용
- 재오염(재부착)방지작용
수정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