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
  • 대진표면처리약품, 연구개발 기능강화

    • 2017.10.15 2007.05.16 202

30평 공간에 파이롯라인, 첨단 분석장비 갖추고 운용/친환경, 기능성약품 개발과 애로사항 해결 산실로 이용

도금약품 제조업체인 대진표면처리연구소(대표:서희열)가 연구개발과 고객만족을 위한 지원체제 강화에 들어간다.

이러한 움직임 첨단산업화에 대한 대응과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강화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것.
이를 위해 대진은 총 5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인천 부평의 경남도금단지에 전초기지역할을 하게 될 30평 규모의 공간을 마련하고 가동에 들어갔다.

여기에서는 갈수록 강화되는 유럽연합국가들의 RoHs등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중심의 약품과 전자 통신부품분야를 겨냥한 고기능의 새로운 약품개발을 비롯해 현재 생산되는 제품의 성능개선과 고객의 애로사항 해결 등에 활용된다.

특히 연구 분석을 위한 산실로 불리는 30평의 공간에는 파이롯라인을 비롯해 도금액과 도금두께, 도금피막을 측정 분석할 수 있는 고가의 첨단 분석장비들이 구비되어 있다.

파이롯라인은 도금업체의 도금라인과 동일한 조건을 갖춘 양산개념의 라인을 갖추고 있으며 분석 측정을 위한 도금두께 측정기와 유기 무기화합물 분석장비, 1000배의 배율을 자랑하는 전자현미경을 갖추고 있다.

대진은 이를 이용해 도금약품을 개발하고 성능을 개선하며 수요자의 애로사항 등을 데이터에 의해 과학적이고 실질적인방법으로 접근하고 해결하게 된다.
"연구 개발실은 도약하기 위한 공간으로 보면 된다. 고품질의 경제적인 약품개발은 물론 고객의 애로사항에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것인 만큼 수준 높은 서비스로 다가서는 대진이 될 것."이라고 대진의 관계자는 전하고 있다. 

한편 연구 실험실을 갖추고 새로운 출발에 나서는 대진표면처리약품은 흑진주도금과 대용크롬, 무광니켈광택제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독보적인 존재로 알려졌다.
그 중 흑진주도금은 국내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효자품목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항상 일정한 흑색을 유지해야 하는 전자, 주방, 가구장식과 문구류 등의 도금에 적합한 제품이다. 유산동도금후 니켈도금을 하지 않고 바로 불변색의 흑색도금이 가능하고 락크작업이 어려워 바렐작업을 해야 하는 제품에 적합하다.

또 무광니켈광택제는 전자제품, 가구, 주방, 등의 손잡이나 장식품에 적합한 약품으로 도금 표면이 거칠지 않고 균일한 상태의 섬세하고 매끈하며, 무광의 금, 은, 크롬도금이 필요한 하지도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제품인 대용크롬도금은 락크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락크에 끼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은 부품의 대용크롬 도금용으로, 저전류 부분이나 부품의 내부 속까지 크롬색상을 필요로 하는 제품과 식기류, 주방용품 등 무공해 크롬색상을 요구하는 제품 등에 적합하다.

특히 대진이 최근 선보인 전해용 락크박리제는 경제적이면서 성능이 우수해 히트상품의 대열에 합류한 제품 가운데 하나다.
이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전해용 박리제 시장에서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국내외의 5개 제품과 비교 테스트를 했다.

결과, 박리성능은 뛰어나면서 스테인리스 소재의 침식과 슬러지 발생량, 폐수 배출시 총질소의 검출 정도가 가장 적었으며 건욕비와 보충비에서도 어떤 제품보다 경쟁력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제품은 낮은 전류밀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타사의 스테인리스 전해 박리제와 혼용사용이 가능하며 용액의 변동이 적어 액관리가 쉽고 여과와 보충만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유독물을 함유하지 않아 유독가스의 발생량도 적은 제품이다.   



GoldBuG 님의 최근 댓글

우선 2가지원으로 압축됩니다..   1. 유기물오염이나 활성탄 처리불량 2. 염소이온부족 1의 경우 정상적인 활성탄 처리를 해야 합니다.   황산구리 도금 광택제에는 미량성분이 있습니다. 활성탄처리 시간이 짧거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경우에 첨가제농도가 일정치 않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험실에서는 충분한 온도(40도이상)와 처리시간(30분이상)을 두고 실험하십시요.   2의 경우 황산구리도금액중 필수요소로 소량의 염소이온이 필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20~80 ppm이 필요로하며 최대 200 ppm 이하로 사용됩니다. 염산 혹은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200 ppm 이상에서는 양극에 통전방해 막이생겨 도금석출을 방해하므로 과량투입은 주의하여야 합니다.   위의 헐셀 상태로보면 활성탄처리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쪽이 더 큰 원인으로 보입니다. 관리자 ...   2018 01.12 핏트와 핀홀은 완전히 다릅니다. 따라서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이 어렵습니다.   1. 소재의 지나친 산세로 인하여 소재가 침식된 경우는 핀홀이 발생하며, 2. 탈지불량에 따른 피트의 발생이 있으며, 3. 니켈도금에서도 피트가 발생할수도 있스며, 4. 황산동 도금액중 불순물로 인한 피트와, 고전류 작업에 의한 피트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5. 또한 사용약품의 불순물과 이에 따른 여과불량이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소재에 의한 문제가 아니라면, 도금액의 여과불량 원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관리자...   2016 10.20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학(Immersion)도금은, 일정 두께에 도달하면 더이상 도금은 진행되지 않아, 두꺼운도금을 할수 없습니다. 그 이후에 계속 침지되면 화학작용으로 소재와의 밀착력이 나빠지게 되어, 변색의 원인이 됩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하지도금(니켈,구리 등)이 없을때 화학도금과 같이, 두께가 얇은 피막은 소재에 도금층이 확산되어 변색이 될수도 있으며, 석 합금등의 도금은 공기중의 가스와 습기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될수도 있습니다..   관리자.. 2016 10.20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결론적으론 물성에 근 변화를 주지는 못합니다.   전기도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중의 하나가 공급되는 전류(전압)입니다. 도금은 파라데이법칙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른 금속이 석출됩니다. 따라서 전기(전류)가 어느정도 물성에 영향을 줄수는 있으나(주로 외관), 정류기에 따른것은 아니고(한부분), 작업환경(도금액 등)에 따른 변화가 도금에 영향을 줄수는 있습니다.   정전류 정전압 정류기는 말그대로 정전류와 정전압을 공급합니다. 정전압으로 세팅되면 부하가 아무리 변하여도 전압은 그대로이며, 전류는 액중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가합니다. 정전류는 전류를 고정시키므로 도금면적이 계속 늘어도 전류가 증가되지 않습니다. 이때 전류는 부하(저항)에 따라 정해진 전류 크기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공급되는 전류와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 물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므로 (정전압정전류 정류기는 작업중 전류와 전압을 올리고 내리는 일중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것이므로) 일반 정류기에서 전압올리고 내리는 경우와 전류 변화할 때 발생되어 일어나는 물성의 영향 외는 도금 제품의 특성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다만 펄스정류기(PR) 또는 역펄스정류기(PPR)를 사용한다면 물성까지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리자.. 2015 05.15 관리자가 알려드립니다.   엔지니어링 프리스틱등의 도금은 ABS의 공정과 유사합니다 이들 수지는 ABS에 사용되는 황산-크롬산 에칭외에 소재를 침식할수 있는 적합한 프리에칭을 적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plating.kr에 엔지니어링프라스틱의 도금과 관련된 검색내용 입니다.   http://plating.kr/index.php?mid=search&search_keyword2=%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ED%94%84%EB%9D%BC%EC%8A%A4%ED%8B%B1&search_target=and3   감사합니다.     2014 07.25
by Orange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