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사항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수정도금의 역사
History of Plating / Galvanizing
수정한국에서의 도금
- 고대 고분 출토물(낙랑)중 칠을 한 그림 또는 무늬에 금박을 입힌 것
- 불교 문화와 함께 수은에 금을 녹여 사용하는 아말감 방법
- 조선시대의 건축물에 금박을 입히는 방법
- 도자기 기술과 함께 금속 도금
조선시대
- 은으로 만든 사리기(舍利器)에 금도금
- 금속 상감법(金屬象嵌法)으로 은이나 오동(烏銅) 등을 박은 후, 녹여서 도안화한 길상문(吉祥紋) · 문자 등 입사문(入絲紋)으로 된 것
일제강점기
- 도금 소지층을 직접 연마하여 광택 처리후 그 위에 다른 도금을 하는 방법.
1950년대
- 미국에서 전기도금용 광택제 도입
- 독일에서는 알루미늄의 전해연마법도입
1960년대
- 니켈 도금 광택제를 사용하여 직접 광택도금을 하는 방법으로 도금 속도가 빨라짐.
- 미국에서 황산구리 광택제 도입
<최동열.. 부분 수정>
1970년대
- 악세사리 도금의 발달
- 1970년 말에 프라스틱 도금 시작
- 한국내의 최초 첨가제의 개발
수정세계의 도금 기술
- 1800년 볼타 전지를 발견하여 납 · 구리 · 은 등의 금속을 도금
- 아연 · 구리 · 은 · 금 · 철 등의 타 금속에 흡착시켜 석출
1840년대
- 시안화용액 속에서 은 · 금 · 구리 · 청동 등을 도금
- 시안화구리도금은 밀착성이 우수한 도금으로 아연 다이캐스팅 소재의 하지도금에 사용
1920년대
- 크롬도금을 자동차 산업에 이용
- 니켈-크롬이나 구리-니켈-크롬 도금으로 많은 응용분야에 사용
- 경질크롬도금 (hard chromium plating)은 기계 부품의 내마모성을 높여주는 새로운 도금방법으로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열성
1950년대
- 비금속성 소재도 금속화 도금
- 1963년 ABS 플라스틱(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전기도금
수정참고
우리나라는 일제로부터 낙후된 표면처리법을 이어왔다. 모든 도금은 금속제품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낸 뒤에 도금하면 광택이 없어지므로 다시 도금층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고 탈지(脫脂) · 산세(酸洗) 등 전처리를 한 다음에 그 위에 다른 도금을 하는 번거로움을 거쳐야 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민족 대사전의 도금
- 도금의 역사 및 기술 변천 |1|
수정보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