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 항목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마크 표기 안내


  • 고온 (40ºC) 작업 특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레베링과 광택이 저전류 범위까지 우수합니다. 광택제 분해가 적어 활성탄 여과 기간을 길게 할수 있습니다. 염료의 ...

수정 마그네슘의 특성

 

 

마그네슘은 대기중의 탄산가스나 아황산가스, 습기와 반응하여 산화물, 황화물, 수산화물의 피막을 일으킨다.

 

용해된 마그네슘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하면 섬광이 발생하며 서서히 연소하여, 백색의 산화마그네슘(MgO) 을 형성한다.

2Mg + O2 = 2MgO (산화마그네슘) 

 

마그네슘

대기중의 질소와도 반응하여 다갈색의 질화마그네슘 (Mg3N2) 을 형성하고, 이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 3Mg + N2 = Mg3N2 ⇒ Mg3N2 + 3H2O = 2NH3 +3MgO

 

연소중의 마그네슘

물이 접촉되면 물을 분해해, 수소와 산소가 발생해 폭발을 일으키거나 마그네슘의 연소를 가속시킨다.

Mg 용탕 + H2O = MgO + H2 = 2H2 + O2 = 2H2O (폭발)

Mg 용탕 + H2O (액체) = H2O (기체) + Mg 용탕 (미세한 입자로 폭발)

 

가열된 산화철

(도가니에 발생한 산화 스케일 등)에 용탕이 접촉하면 격렬하게 반응한다.

3Mg + Fe2O3 = 3MgO + 2Fe ( 강렬한 발열반응 - 폭발)

 

수용액중

고온수나 염화물을 포함한 수용액중에서는 물과 반응해, 수소가스를 발생하면서 수산화마그네슘 (Mg(OH)2) 을 형성한다.

내화재의 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카(SiO2)와도 격렬한 반응을 한다.

2Mg + SiO2 = 2MgO + Si ( 폭발) 

 

수정 마그네슘 작업시 안전사항

  • 작업장 및 기기 주변을 활동하기 쉽게 배치정돈하고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 소친화력이 높고 인화성이 높은 물질은 작업장에서 멀리 유치한다.
  • 마그네슘 작업장에서는 그라인딩, 용접작업을 해서는 안된다.
  • 타 금속과 같은 작업장에서 병행작업을 해서는 안되며 화제가능성이 있는 물질은 불연성 재질로 교체 사용해야 한다. (다이케스팅 M/C 작동유 등)
  • 수시로 공기를 환기시켜 공기 및 가스 팽창에 대한 안전을 유지하고 마그네슘 분진 등이 기계 및 건물에 안치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수정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