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 항목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마크 표기 안내



수정 전기 아연도금 강판

^ Electro Galvanized Iron (EGI)

 

 

도금금속에 따라 단도금ㆍ합금도금ㆍ이층도금 등이 있으며 단도금으로는 순수 아연 전기도금 강판이 있으며 합금도금으로는 Zn-NiㆍZn-FeㆍZn-MnㆍZn-CrㆍZn-Ni-Cr 등이 있고 이층도금으로는 Fe-Zn/Zn-FeㆍFe-P/Zn-FeㆍFe-Mn/Zn-Fe 등이 있다.|1|

 

수정 순수 아연 (Pure Zn) 전기도금 강판

  • 전기 아연도금 제품 중 가장 범용적인 특성을 가지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후처리를 실시한다.
  • 박도금으로 외장성ㆍ도금성ㆍ용접성이 양호하고 가전기기ㆍ도장강판ㆍ건축용재 및 금속가구에 사용된다.

 

수정 아연-철 합금 (Zn-Fe) 전기도금 강판

  • 아연-철 합금 전기도금 강판은 순수 아연용융 합금의 도장성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됐으며 아연-철의 비활성적인 성질 때문에 철 (Fe) 15∼35 % 내외에서 양호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순수 아연보다 용접성, 도장성이 개선되고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내외판용으로 사용된다.
  • 이 전기도금은 전착도장시 Crater라는 도장결함이 나타나기 쉬운 결점이 있으나 Fe-Rich Layer (약 2 g/mm2) 를 한번 더 도금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 Double Layered Alloy Electroplating 이 개발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수정 아연-니켈 합금 (Zn-Ni) 전기도금 강판

  • 니켈 (Ni) 10∼16 % 내외의 합금도금 강판으로 자동차의 내식성을 향상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니켈첨가로 도금층이 견고하고 용접성ㆍ내식성ㆍ도장성이 우수하며 자동차의 내외판용으로 사용된다.
  • 니켈 10∼16 % 사이에서는 γ(Ni15 Zn21) 단상이 나타내는데 10 % 이하에서는 η+γ 상과 16 % 이상에서의 α+γ 상보다 갈바닉부식 (Galvanic Corrosion) 등이 없으므로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아연-니켈 부식 포텐셜은 순수 아연보다 높고 철보다 낮다.
  • 부식이 진행되는 동안 아연의 부식이 먼저 일어나며 순수 아연 부식으로 부터 발생되는 아연 산화물보다 전도도가 낮은 부식 생성물인 아연 수산화물이 발생되고 표면은 니켈 농축 합금이 남는다.
  • 이러한 표명은 도금층에 적녹 발생을 억제하며 동일 도금량의 순수 아연도금에 비해 내식성이 3∼5 배 강화된다.
  • 연속적인 Spot Welding 성ㆍ성형성 등도 양호하며 마찰 저항성도 순수 아연도금에 비해 ⅓ 수준이다.

 

수정 이층 도금 강판

  • 구멍부식 10년 보증을 위해 개발된 강판으로 하층이 30∼45 g/m2Zn-Fe (15%), 상층에 3∼5 g/m2Fe-Mn (5%) 을 도금하여 도장 후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며 자동차 외판에 사용된다.

 

수정 유기 피복 강판

  • 자동차용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Zn-Ni 도금강판에 유기피복을 실시하여 내식성을 강화시킨 강판으로 자동차 내외판에 사용된다.

 

수정 윤할 및 내지문 강판

  • 가전의 내식성 및 내지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지문 수지 피복 강판 및 윤할수지를 도포하여 프레스유 미사용 가공이 가능한 윤할강판 등이 있으며 가전기기 등에 사용된다.

 

수정 기타 고내식성 강판

  • Zn-Mn 강판은 60% 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당초에는 구연산을 첨가한 황산욕에서 개발이 시도됐으나 전해효율이 낮아 불화욕에서 사용하고 있다.
  • Zn-Cr 강판은 아연중에 크롬을 금속상태로 공석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최근 첨가제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정 참고

 

수정 보충자료

  1. ^ 전기 아연도금 강판의 특성 (오래된 웹서치 자료로 출처를 알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