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 항목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마크 표기 안내


  • 도금 첨가제와 광택제 제조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누구든 쉽게 연구개발 할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도금 약품 제조와 관련된 일 이라면 항시 Plating.kr을 ...

3가 크롬을 주제로 이용한 아연도금 부동태 피막의 연구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실험에는 SPCC 강판을 사용하여 침지한 후, 두께 8㎛ 의 아연도금을 하였다. 황산칼륨크롬을 3가크롬원으로 사용하고, 여러 종류의 시약을 첨가한 처리액으로한 시편을 크로미트 처리하였다.

 

수정 3가 크로메이트 피막 조성과 내식성

^ Trivalent Chromate Coating Composition & Anti-Corrosion

  • 시료의 내식성을 염수분무시험과 분극저항 측정에 따라 평가하고, Auger 전자분광법으로 표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크롬과 규산을 이용한 화성피막은 단독사용 피막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냈으며, 더우기 인산염을 첨가하고, 콜로이탈 시리카액에 침지 처리함에 따라 보다 내식성이 향상되었다. 이 처리에 따라 3가 크롬의 량과 두께가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 화성처리액은 3가크롬원으로서 황산칼륨크롬ㆍ기타의 시약과 규산소다ㆍ제일인산칼륨ㆍ바나듐산 암모늄ㆍ질산ㆍ수산화나트륨ㆍ콜로이달 실리카를 선정하여 사용하였고, 염수분무시험에 따라 내식성을 평가 하였다.
  • 표 1에, 실험에 이용된 처리액 (S0~S7) 의 조성 및 처리방법을 보여주며, 황색 크로메이트 처리액 S7 은 비교하기 위하여 덧 붙였다. 그림 1은, 염수분무시험 결과를 알수있다.

201309052120.gif

  • 3가 크롬을 직접 처리한 S1, 규산소다로 처리한 S2 는 부식이 크나, 두개를 병용한 S3 은 확실히 내식성이 향상되고, 여기에 인산염을 첨가한 S4 는 한층 내식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 비교 시료로서 황색 크로메이트 S7 은 168 시간에도 백색발청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5% 식염중의 부식전위의 경시변화에도 부식전위는 24시간 경과후는 어느 시료든 안정함을 나타낸다.
  • 그러나 Zn(SO) 나 규산소다 처리 (S2)  피막과, 고내식성의 황색 크로메이트처리 S7 과의 사이에 부식전류는 큰 차이가 없고, 기본적인 아연의 자연전위를 나타낸다. 요컨데 처리피막과 부식전위간에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 각 피막의 오제전자 스펙터클을 측정하였다. 그림 5에 S3, S4 의 깊이 방향의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CrㆍSiㆍP 는 표층부에 많고,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피막조성은 하나 같이 없는것으로 판명되었다.
  • S3 피막은 대략 80nm, S4 는 대략 100nm 를 나타내며, S1, S2, S6 은 거이 동일한 정도의 피막두께를 나타낸다.

 

수정 처리액의 조성

  • 3가크롬원으로서 황산칼륨크롬, 기타 시약으로 규산소다, 제1인산소다, 바나듐산 암모늄, 질산, 수산화나트륨, 콜로이탈 실리카

 

201309052122.gif

201309052124.gif

 

 

수정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