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1. 습식도금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한 노트로, 책을 보듯 그대로 읽으면서 링크를 클릭하면 됩니다.
2. 노트의 자료와 데이타는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여 주십시요. 자료에 대한 어떠한 보증도 없습니다.
3. 잘못된 정보 또는 수정 항목을 알려주시면 POINT를 드립니다.

 
마크 표기 안내



수정 몰농도ㆍ모랄농도

 

유용한 농도 단위에 몰랄 농도가 있다. 1 몰랄의 용액은 1000 g 의 용매 속에 1 ㏖ 을 포함한다.

 

몰랄 농도는 어는점 내림, 증기압 또는 삼투압과 같이 용액중의 용매 1 ㏖ 마다의 용질 입자수만으로 결정되는 물질의 성질을 물리 화학적으로 측정할 때 편리하다.

 

몰랄 농도는 온도에 의존하지 않으나 ㏖ 농도나 노르말 농도는 온도에 의존한다. (용매의 부피가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고체시료

ppt (wt/wt) = (용질의 무게 g ÷ 시료의 무게 g)(A) x 10-3 (ppt : parts per thousand)

㏙ (wt/wt) = (A) x 10-3 x 10-3 (㏙ : parts per million)

ppb (wt/wt) = (A) x 10-3 x 10 x 10-3 (ppb : parts per billion)

 

액체시료

액체 시료의 경우 결과는 위에서와 같이 무게/무게로 나타내거나, 무게/부피를 기준으로 해서 니티낸다. 후자가 더 일반적이다.

 

ppt (wt/vol) = (용질의 무게 g ÷ 시료의 부피 ㎖)(B) x 10-3

ppm (wt/vol) = (B) x 10-3 x 10-3

ppb (wt/vol) = (B) x 10-3 x 10-3 x 10-3

1 ㏙ = 1000 ppb , ppt = g/L , ㏙ = 10-3 g/L

 

따라서

㏙ = 1 ㎎/1L = 10-3 g/L

ppb = 10-3 ㎎/L

 

 

수정 암모니아수 Mol 농도

 

25% 암모니아수 (d=0.907) 의 ㏖ 농도

%→M 변환공식으로 25 % NH의 ㏖ 농도를 계산하면

㏖ 농도 = (wt % ÷ ㏖ 질량 ) X 10 X 밀도 = (25/17) X 10 X 0.907 = 13.3382 M 이 된다

 

25% 암모니아수로 6H NH4OH 용액

위에서 23 % 암모니아 ㏖ 농도는 13.3382 M

암모니아수는 1 가염 이므로 ㏖ 농도 = 노르말 농도로 13.3383 N

 

NV = N'V'

13.3382 N X x㎖ = 6 N x 100 ㎖ (100 ㎖ 조제시)

x = 6 X 100 ÷ 13.3382 = 44.9836 ㎖

 

㏖ 농도에 산 (H) 또는 염기 (OH) 가 이온화 될때 방출하는 수소 이온 (H+) 또는 수산화이온 (OH-) 의 개수를 곱하면 노르말 농도가 된다.

 

산의 노르말 농도 = (H의 갯수) X 산의 몰농도

염기의 노르말 농도 = (OH의 갯수) X 염기의 ㏖ 농도

 

예로 염산 (HCl) 과 가성소다 (NaOH) 는 ㏖ 농도와 노르말 농도가 같다.

HCl → H↑+ +Cl-

NaOH → Na+ ↑ + OH-

 

H2SO4, Ca(OH)2 는 1 M = 2 N

H2SO4 → 2H+ ↑ + SO42

Ca(OH)2 → Ca2+ + 2OH-

 

H2PO4는 1 M = 3 N

H2PO4(aq) → 3H+(aq) + PO43-(aq)

 

㏖ 농도와 노르말 농도

㏖ 농도 X 당량수 = 노르말 농도

(㏖/L) X (eq/㏖) = eq/L

 

 

수정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