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3가 크롬도금
^ Trivalent Chromium Plating
3가크롬 도금은 장식크롬 도금에 사용되는 6가크롬을 3가크롬으로 전환하는 도금이다. 도금된 금속크롬은 직접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세계적인 지구환경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취지로 3가크롬으로 전환이 추진되고 있다.
최초의 3가크롬 도금은 크롬도금이 최초로 보고된 1854년의 "Prof.Robert Bunsen" 의 염화크롬욕이다. 이후 3가크롬 도금은 "Bunsen" 의 도금욕이 복잡한 착체형성으로 도금액관리가 어려웠으나, 1975년 영국 "Albright & Wilson" 사가 최초로 실용적인 장식용 3가크롬 도금 "ALECRA 3 Process" 를 실용화 하였다.
ㆍ
1980년대에는 Alecra 의 단점을 개량한 도금방법이 미국의 Harshaw사 (현 Atotech)가 싱글셀 방식의 황산염-염화물 혼합욕 "Tri Chrome Process" 를 개발하였고, IBM과 영국 Canning사 (현 MacDermid) 가 공동개발한 더블셀 방식의 황산욕인 "Enviro Chrome" 을 발표하였다.
초기의 더블셀 방식의 황산욕 방법은 이후 백금족계 산화물을 티타늄에 코팅한 티타늄-이리듐 옥사이드 양극이 개발되면서 현재는 싱글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불용성 양극은 산소 과전압이 상당히 낮아 아노드반응에 있어서 산소의 방전반응을 우선 일어남에 따라, 6가크롬의 산화반응과 유기물 분해를 일으키지 않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 1971년 BNFMRA I
Dimethyl Formamide(non-Aqueous)
- 1976년 BNFMRA II
Hyphophosphite, Cr3(SO4)3
- 1973년 ALECRA I
Formate, Bromide, CrCl3
- 1975년 ALECRA II
Formate, Acetate, Ammonia, Cr2(SO4)3
- 1980년 Enviro CHrome
SUlphite, Aspartic acid in divided cell, Cr2(SO4)3
- 1982년 OMI(USA)
Fluoborate, vanadyl sulphate, Cr3+ ions
수정3가크롬과 6가크롬의 비교
항목 |
3가크롬 |
6가크롬 |
균일전착성 |
상당히 좋다 |
나쁘다 |
수정도금욕의 기본조성
140 g/l CrCl3 H2O Chronic chloride
80 g/l HCOOK Potassium formate
10 g/l NH4Br Ammonium bromide
76 g/l KCl Potassium chloride
40 g/l H3BO3 Boric acid
554 g/l Ammonium chloride
1 ㎖ Wetting Agent
㏗ 2.8
temp. 25 ℃
수정참고
장식 3가 크롬도금의 동향 (표면기술)
수정보충자료
- ^ 'TRIVALENT CHROMUM ELECTROPLATING BATHS~', USpatent 3,954,574, Albright & Wilson 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