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397건
List of Articles
Pstation Data Box · 2019 ⋅ S.I.HONG ⋅
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검색(로그인 필요)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철 Fe(ii) 및 크롬 Cr(iii)의 염화물을 주성분으로한 DMF 욕에서 철-크롬 Fe-Cr 합금전착에 관하여, 합금조성, 음극전류효율 및 합금도금의 표면형태에 있어서 전해조건의 영향을 전기화학적으로 검토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9권 6호 1978년 · Naoji FURUKAWA · Tadao HAYASHI 참조 27회

크롬산 CrO3 농도를 변화한 용액에, 여러가지 아니온을 첨가하고 크롬전석에 있어서 촉매작용에 관한 검토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8권 3호 1977년 · Saburo KONISHI · Susumu KATO 외 .. 참조 14회

크롬 (III) = 0.4 mol/l, 포름산염 > 0.8 mol/l, 염화물 > 1 mol/l, 암모늄 > 1 mol/l, 붕산 > 0.5 mol/l 및 브롬화물 = 0.1 mol/l, pH 2.5~3.0 , 액온도 <30 도, 전류 밀도 1~200 A/dm². 포름산염은 [Cr3(OH)2(HCOO)6]+와 같은 크롬(III)과 착물을 형성하는 반면, 브롬화물은 포름산염, 암모늄 및 붕산...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8권 2호 1977년 · Susumu KATO · Shuichi GOTO 외 .. 참조 24회

장식용 크롬도금에서 도금표면의 외관에 대한 전류차단의 영향을 조사했다. 전류차단으로 인한 도금된 표면의 흐림은 도금액의 온도에 크게 좌우되었다. 온도가 낮을수록 효과가 더 크지만 온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적다. 중단의 효과는 첫번째 중단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그러나 후속 중단에서 줄어...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10호 1973년 · Susumu IGAWA · Yasuo UCHIKOSHIKI 참조 22회

소지니켈 표면의 산화피막을, 크롬도금욕중에 침지하는 시간의 영향, 양극산화를 진행함에 따른 산화피막이 생성될때의 영향에 관하여 검토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10호 1973년 · Susumu IGAWA · Yasuo UCHIKOSHIKI 참조 34회

SO42-은 현재 크롬 도금액에 있어서는 필요 불가결한 촉매이며, 현재 사용되어있는 광택 크롬도금욕에 반드시 SO42-가 첨가되어 있다. 우리가 연구중인 저농도 크롬도금 용액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SO42- 자동 제어 크롬도금욕에 대하여 특허외에도 발표되고 있지만 결정된 보고는 전무하다. SO42-...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8호 1973년 · Saburo KONISHI · Yasutake KUBOTA 참조 23회

SiF62- 자동 제어 크롬도금욕은 SRHS 욕이 유명하다. 이것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농도 크롬 액에 황산 스트론튬과 규불화칼륨을 용해도 이상 용해 이외에도 일정량의 스트론튬염 및 칼륨염을 첨가하는 SO42- 와 SiF62- 욕이다. 적당량 자동제어 크롬 도금욕에서 불화물 SiF6 이온의 자동제어욕의 개...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8호 1973년 · Saburo KONISHI · Mitsuaki TADAGOSHI 외 .. 참조 31회

칼슘 Ca2+ 가 첨가된 불화칼슘 CaF2 로 포화된 크롬도금욕에서 불소농도의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약산성 염의 특성으로 인해 CaF2 는 수용액에서 보다 크롬도금욕과 같은 낮은 pH 값의 용액에서 매우 높은 용해도를 가졌다. 크롬도금욕에 수산화칼슘 Ca(OH)2 를 첨가함으로써 불소의 ...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7호 1973년 · Saburo KONISNI · Yasutaka KUBOTA 참조 25회

크롬도금 용액에 촉매로 황산이외에 다양한 불소 화합물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불소화합물 중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있는 것은 규불화물이며, 크롬 도금의 광택 범위의 확대, 전류효율의 상승 석출물의 경도 및 전착응력을 증대하고 또한 균열을 곱게하여 장식도금의 내식성을 좋게하는 등 여러 가...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4권 3호 1973년 · Saburo KONISHI · Mitsuaki TADAGOSHI 외 .. 참조 32회

크롬산농도 50 g/l 이하의 크롬도금욕에서의 크롬도금의 전류효율에 관하여 조사

크롬/합금 · 금속표면기술 · 23권 11호 1972년 · Saburo KONISHI · Mitsuaki TADAGOSH 참조 37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