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과학기술정보연구원 37건
도금기술의 변천과 발전
Changes and development of plating technology

등록 2020.06.08 ⋅ 44회 인용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A, 한글 6 쪽

분류 해설

자료 있음(다운로드불가)

저자

기타

자료

  • 관련자료가 없는 경우 관련사이트 또는 Web에서 검색하십시요.

분류
자료요약
카테고리 : 도금자료기타 | 글입력 : 화양별곡 | 최종수정일 : 2022.09.08
2010년 M. Schlesinger 등의 Modern Electroplating 5권을 펴서 읽어보면 전기도금 금속으로 구리 Cu, 니켈 Ni, 크롬 Cr, 금 Au, 은 Ag, 납 Pb, 주석 Sn, 아연 Zn, 철 Fe, 팔라듐 Pd, 백금 Pt, 로듐 Rh, 이리듐 Ir 등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고 무전해도금에 대해서도 몇 가지의 금속이 기술되어 있다. 또 주석-납 Sn-...
  • 단가 이온상태에서 구리를 석출시키기 위한 무시안화물 도금용액은 구리이온원, 2가 구리이온을 단가 구리이온으로 환원시키는 환원제, pH 를 7~10 으로 유지시키는 알칼리 ...
  • 연속식전기아연도금 라인에 있어서 횡형의 Jet Cell의 개발을 기존으로하여, 고전류밀도전해로 저전압조업이 가능한 고효율전해셀의 검토 및 보고서
  • 인쇄회로의 구리도금에 잘 맞는 산성 구리전기 도금용 첨가제 조성물은 ω-설포 -n- 프로필 N, N-디에틸 디티오 카바메이트의 나트륨 염, 평균 분자량 6000~20000 범위를 갖...
  • DMAB 을 환원제로하는 무전해 니켈-붕소 Ni-B 도금의 초기석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밝히기 위하여,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주석-팔라듐 Sn-Pd 2 액형 촉매 프로세스를 이...
  • 수용성 알칼리 도금욕으로부터 아연의 전착을 개선하는데 특히 유용한 조성물이 기술된다. 새로운 조성물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