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종횡비가 높은 MEMS 장치에서 LIGA 또는 LIGA와 유사한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소자구조의 재료는 전착이 쉽기 때문에 니켈 또는 구리로 전기도금한다. 이 논문에서는 대체재료인 전기도금된 니켈텅스텐합금도금이 MEMS 재료로 검토되었다. 기계적, 화학적 및 자기 ...
니켈/합금
·
電気学会論文誌 · 19권 11호 1999년 · Hidehiro Ikeda ·
Sunao loku
외 ..
참조 29회
|
전해액 내 사카린의 농도 변화에 의한 전기도금 니켈-철 퍼멀로이 박막의 미세구조와 자기적 특성 변화
전기도금 니켈-철 퍼멀로이 박막에 대한 사카린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1 μmol/L 이하 농도의 사카린이 도금용 전해액에 첨가되면, 도금 박막의 결정립 크기를 감소시키고, 표면 거칠기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물성의 변화는 자기적 특성 중 보자력의 감소와 투자율과 자기임피던스...
니켈/합금
·
한국자기학회지 · 19권 4호 2009년 · 이호준 ·
방원배
외 ..
참조 48회
|
전석 니켈-텅스텐 합금도금막의 미세구조와 열평위 형태도와의 관계
여러 조성을 가진 니켈-텅스텐 Ni-W 합금도금막을 만들고, 각각의 열처리에 의한 안정상에의 과정을 비교함에 따라, 도금 그대로의 막중 미세결정이 존재하여, 이들의 열처리에 따라 성장거칠기가 크게된다..
니켈/합금
·
금속학회지 · 65권 11호 2001년 · Kyyoshi Itoh ·
Feng Wang
외 ..
참조 24회
|
설파민산과 와트욕에서 Ni 전착의 질감과 경도에 대한 유기 첨가제와 전류 밀도의 효과
니켈 Ni 전착은 전류밀도 범위 500~2000 A/m2 에 걸쳐 각각 323 및 313 K 에서 330 및 313 K 의 와트액에서 전류밀도 범위에서 정적으로 수행되어 도금된 Ni 의 텍스처 결정방향 및 경도에 대한 유기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했다. . Ni 도금에 대한 과전압은 설파메이트와 Watt 용액 모두에 폴리에틸렌글리...
니켈/합금
·
Materials Transactions · 51권 5호 2010년 · Feng Yang ·
Wenhuai Tian
외 ..
참조 63회
|
니켈-코발트 나노결정 피막의 전착에 대한 사카린의 효과
니켈-코발트 나노결정 피막은 사카린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탄소강 소대에 전착되었다. 사카린이 없을때, 수소복합체 및/또는 중간성분의 전류밀도 및 흡착은 나노결정성 전착을 일으키는 두가지 효과적인 변수로 구별되었다. 후자의 경우 성장 활성 사이트는 낮은 전류밀도에서 쉽게 차단될수 있다.
니켈/합금
·
Appl Electrochem · 38권 2008년 · Sh. Hassani ·
K. Raeissi
외 ..
참조 36회
|
니켈의 전기결정화에 대한 사카린과 지방족 알코올의 효과
사카린과 세종류의 지방족알코올 (n- 프로필알코올, 알릴알코올, 프로파길알코올)이 와트욕(1 M NiSO4 + 0.2 M NiCl2 + 0.5 M H3BO3)에서 전해니켈의 표면형태와 결정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화학적 방법, 주사 전자현미경, 에너지분산 X선 분석 및 X선 회절패턴의 측정을 통해 연구되었다. 사카린과 ...
니켈/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4권 1994년 · Y. NAKAMURA ·
N. KANEKO
외 ..
참조 38회
|
극히 얇은 니켈과 코발트층 전착의 거칠기에 대한 티오우레아와 사카린의 효과
니켈 Ni 및 코발트 Co 필름은 티오우레아 또는 사카린을 포함하는 도금조에서 전착하여 생산되었다. 표면 거칠기에 대한 유기첨가제의 효과는 Ni-티오우레아, Ni-사키린, Co-티오우레아 및 Co-사카린 시스템에 대해 연구 하였다. 층 두께는 1~10 nm 까지 다양했으며 첨가제 농도는 약 1 μM 에서 1 mM 까...
니켈/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32권 2002년 · R.F. RENNER ·
K.C. LIDDELL
참조 37회
|
산성 황산액에서 니켈 전착중의 티오우레아의 효과
음극전류 효율 (CE), 도금품질, 결정학적 방향, 표면형태 및 양극화 거동에 대한 티오우레아의 영향은 60 ℃ 에서 2 시간 동안 산성황산염 용액에서 니켈전착중 조사 하였다. 티오우레아의 농도가 2 에서 40 mg dm3b로 증가했을때 CE 에서 3~4 % 의 약간 감소가 관찰되었다. 니켈 도금품질은 더 높은 티...
니켈/합금
·
METALL. MATER. TRANS. · 38권 2005년 · U.S. MOHANTY ·
B.C. TRIPATHY
외 ..
참조 43회
|
질산칼륨을 함유하는 와트욕 (Watt bath) 으로 부터 흑색니켈도금을 철강소재상에 전착시켰다. 부드럽고 고착성인 검은색 니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최상의 작동 조건은 pH 4.6, i = 0.5 Adm-2, T = 에서 NiSO4⋅6H2O 0.63M, NiCl2⋅6H2O 0.09 M, H3BO3 0.3 M 및 KNO3 0.2 M 인 것으로 밝혀졌다. ...
니켈/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36권 2006년 · MAGDY A. M. IBRAHIM ·
참조 48회
|
코발트-니켈 합금의 전착은 4.4 의 pH 에서 5~60 gL-1 황산코발트 COSO4 7H20, 100~300 gL-1 염화니켈 NiCl2 6H20 및 25 gL-1 붕산 H3BO3 조성의 와트욕에서 수행되었다. 전착중 음극분극과 합금조성은 도금가능한 금속이온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반면 음극효율은 약간만 영향을 받는다.
니켈/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15권 1985년 · S. S. ABD EL-REHIM ·
A. M. ABD EL-HALIM
외 ..
참조 33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