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무전해 도금법으로 제조한 Ni-W-P 합금 도금막의 내식성
무전해니켈텅스텐인 Ni-W-P 합금 도금막은 지금까지의 무전해 Ni-W-P 합금막에 비해서 텅스텐, 인의 함유율이 높고, 질산 이외의 염산, 황산의 산성 환경 및 암모니아, 수산화 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환경에서도 부식이나 변색이 생기지 않았다. 또, 열처리 하여 경질크롬도금과 동등한 경도를 ...
합금/복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40회
|
팔라듐 Pd 촉매부여 처리 대신으로 니켈 Ni 스트라이크 도금액의 구성성분이 무전해 Ni 도금액과 유사하기 때문에 Ni 도금액의 착화제가 구리 Cu 위에 석출하는 Ni 결정상태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Kato 등은 무전해 박막 금/니켈 Au/Ni 도금피막의 납땜접합 특성에 미치는 Ni [[스트라이크...
니켈/Ni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황용길 ·
참조 89회
|
계면활성제와 나노첨가물을 함유한 AZ91D 마그네슘 합금표면의 Ni-P 도금특성
마그네슘 합금은 자동차 적용에 있어서 고온에서 낮은 강도와 상대적 으로 내식성이 낮은 2가지 단점이 있다. 마그네슘 합금의 내식성 향상 을 위해서는 Ni-P 도금이 경제적이고 기술적으로 유용하다. 계면활성제와 나노첨가물을 혼합한 Ni-P 도금액으로 사용하여 마그네슘합금 (AZ91D) 기지표면에 석출...
니켈/Ni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38회
|
인쇄회로기판의 배선재료로 사용되는 황산구리도금의 스루홀 도금이나 비어 충진을 동반한 패턴도금의 균일전착성 향샹에 대하여 도금액 측면에서 연구
종합자료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58회
|
무전해 Ni도금에 공석한 첨가제와 납땜 접합성
솔더 실장재료가 Sn-37 wt% Pb 공정합금에서 Sn-3 wt% Ag-0.5 wt% Cu 로 변환하여 무전해 Ni/Au 도금처리의 솔더 실장 신뢰성이 저하한다 . 높은 솔더 신뢰성을 갖는 무전해 Ni/Pd/Au 도금처리의 실장 신뢰성에 대한 보고가 적고 , 안정한 품질을 얻기 위한 관리점이 분명하지 않다. 무전해 Ni 도금피막...
니켈/Ni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19회
|
신라시대에 황룡사 불상을 제조할 때 금이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있으나 가장 오래된 도금불상은 백제가 전해준, 일본 나라현이 소장하고 있는 동대사의 대불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삼국시대 이전까지는 금덩어리 불상이었으나 이후, AD817년 통일신라 말기에서부터 고려시대에 접어들면서 도금된 석불로...
도금자료기타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269회
|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와 도금액분석 응용사례
이온크로마토그래피 (IC: Ion Chromatography) 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이며, 이온교환칼럼 (column) 에 의해 이온성분 분리 후,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기술로서, 30 년전에 확립되었다. 무기음이온, 무기양이온, 유기산, 아민을 간편한 조작에 의해 고감도로 정량할 수 있다.
시험분석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이해용 ·
참조 74회
|
구리도금 비아홀 충진 도금액은 구리, 황산, 소량의 염소와 2~4 종의 유기첨가제로 구성된다. 구리도금 비아 충진 액조성은 구리농도가 높고 황산농도는 낮다. 장식용 황산구리도금에 가까운 CuSO4 5H2O 180~240 g/ℓ 조성이다. FC 기판이나 차량탑재 기판 ECU (Engine Control Unit) 용의 [[스루홀]...
구리/합금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176회
|
전기도금 중에서 가장 빠른 시기에 공업화된 것이 은 Ag 도금이다. 귀금속으로 서 금 Au 의 뒤를 잇는 은의 특성은 장식성과 약품에 대한 민감한 화학특성 때문에 식기나 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초로 은 Ag 의 전기도금이 기록에 남은 것은 1800 년이고, L. Brugnatelli 에 의한 질산염욕으...
금은/합금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52회
|
전기도금의 역사와 기술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1799 년 이탈리아 물리학자 볼타 (Count Alessandro Volta) 가 전지를 발명하면서 부터 시작되었다. 이듬해 9 월에 자외선 스펙트럼을 발명한 독일의 물리학자 리터 (Johann Wilhelm Ritter) 가 볼타가 개발한 볼타전지를 이용해서 철 표면에 아연도금을...
구리/합금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na · 김유상 ·
참조 92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