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황산-염화욕에서 얻은 Zn-Ni 피막의 전해석출과 내식성
Zn-Ni 도금을 정전류 조건 하에서 표면 형태, 화학적 상 조성에 대한 전착 전류 밀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류 밀도 10~25 mA cm-2 에서 얻은 Zn-Ni 피막의 내식성을 측정하고 카드뮴 도금의 내식성과 비교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Zn-Ni 도금의 전착 가능성은 24~26 % 로 나타났다. 전기화학적 조사에 ...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4권 4호 2011년 · KATARZYNA WYKPIS ·
MAGDALENA POPCZYK
외 ..
참조 104회
|
ZnNi 합금 전착에 대한 에틸바닐린의 효과와 그 특성
철강 표면의 광택 ZnNi 합금 도금은 광택제 에틸 바닐린 (EV) 을 사용하여 전착하였다. 광택제는 도금의 전류 효율과 전착성을 향상시킨다. 광택제가 있는 경우 피막의 니켈 함량은 전류 밀도와 두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ZnNi 합금 전착물의 외관, 경도, 밀착성, 연성 및 내식성과 같은 전착 특성...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7권 5호 2014년 · K. O. NAYANA ·
T. V. VENKATESHA
참조 29회
|
전착 구리의 미세구조와 표면에 대한 고분자 첨가제 분자량의 영향
구리의 전착은 도금욕에 첨가제로 분자량 (MW) 이 다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을 사용 하였다. 구리이온이 있는 상태에서 PEG 와 염화물이온 염소 (Cl-) 으로 형성된 흡착층은 도금기구와 피막특성을 제어하는 데 확실한 역할을 한다. 물리화학적 물질에 대한 MW (200~20000) 가 다른 PEG 의 흡착거...
구리/합금
·
Bull. Mater. Sci. · 34권 2호 2011년 · R MANU ·
SOBHA JAYAKRISHNAN
참조 167회
|
헤테로사이클릭 유기실란 자기조립 박막에 의해 변형된 ABS 수지표면에 대한 무전해 구리 도금의 연구
6-(3-트리에톡실리 프로필) 아미노 -1,3,5- 트리아진 -2,4- 디티올 모노소디움 (TES) 은 코로나 전처리된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수지 표면에 도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자체 도금된 ABS 수지는 무전해구리도금으로 처리되었다. 공정의 최적 조건을 연구하기 위해 직교 테스트를...
구리/Cu
·
Bull. Mater. Sci. · 37권 1호 2014년 · H N ZHANG ·
J WANG,
외 ..
참조 29회
|
전착 Ni-Fe 합금박막 합성의 특성에 있어서 도금욕 조성과 pH 영향
철-니켈 Fe-Ni 필름은 25 ℃ 에서 Ni2+ / Fe2+의 몰비가 다르고 pH값 (2.1, 2.9, 3.7 및 4.3) 이 다른 전해질로부터 ITO 유리기판에 전착되었다. Fe-Ni 합금도금의 특성은 전해질의 Ni2+ 및 Fe2+ 농도와 pH 값에 따라 다르다. Ni 의 함량은 전해질에서 NiSO4 / FeSO4 의 몰비가 0.50 / 0.50에서 0.90 / 0...
니켈/합금
·
Bull. Mater. Sci. · 35권 2호 2012년 · XINGHUA SU ·
CHENGWEN QIANG
참조 45회
|
표면에 대한 중합 첨가 분자 질량의 영향과 전착 구리의 미세 구조 특성
구리도금은 도금욕에서 첨가제로 다른 분자량 (MW)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구리 이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PEG 와 염화물이온 (Cl-) 으로 형성된 흡착층은 전착 메커니즘과 코팅특성을 제어하는데 확실한 역할을 한다. 물리화학적 물질에 대한 MW (200~20000) 가 다른 PEG...
구리/합금
·
Bull. Mater. Sci. · 34권 2호 2011년 · R MANU ·
SOBHA JAYAKRISHNAN
참조 37회
|
황산욕으로 부터 연강에 대한 광택 아연-니켈 합금의 전착에 있어서 첨가제의 영향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5호 2007년 · S. SHIVAKUMARA ·
U. MANOHAR
외 ..
참조 44회
|
연철에 대한 아연의 전착에서 축합 생성물의 효과
3,4,5 -트리메톡시 벤즈알데하이드 (TMB) 및 키토산 (CTN) 의 축합 생성물 (CP) 을 함유하는 산성 염화욕에서 철강에 아연을 전착시켰다. 욕성분, pH, 전류밀도 및 온도가 도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헐셀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도금액구성 및 작동변수도 최적화되었다. 도금의 밀착력, 연성 및...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5호 2007년 · S. SHIVAKUMARA ·
U. MANOHAR
외 ..
참조 39회
|
비시안욕에서 아연의 전착에 대한 새로운 축합 생성물의 효과
황산 염화물 도금액에서 아연전착은 키토산과 베라트라알데하이드 사이에 형성된 축합생성물의 존재하에 수행되었다. pH, 온도 및 전류밀도와 같은 도금액 성분 및 작동변수는 헐셀실험을 통해 최적화 되었다. 전류효율과 침투력이 측정되었다. 편광연구는 첨가제의 존재하에서 음의 방향으...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3호 2007년 · GANESHA ACHARY ·
H. P. SACHIN
외 ..
참조 22회
|
나노 아연피막을 전착에 의해 연강에 도금하였다. 아연 석출표면 및 부식 특성에 대한 결정의 크기 형태에 대한 첨가제의 효과를 조사했다. 부식 테스트는 전기화학적 측정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 NaCl 수용액 (3.5 wt. %) 에서 아연 도금과 광택아연 도금에 대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아연도금 공정에...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1권 4호 2008년 · H.B. Muralidhara ·
Y. Arthoba Naik
참조 44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