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11060건
복합도금 제조기술
The composite plating technology

등록 2009.06.23 ⋅ 39회 인용

출처 RIST 硏究論文, 20권 4호 2006년, 한글 7 쪽

분류 해설

자료 있음(다운로드불가)

저자

기타

자료

  • 관련자료가 없는 경우 관련사이트 또는 Web에서 검색하십시요.

분류
자료요약
카테고리 : 합금/복합 | 글입력 : goldbug | 최종수정일 : 2014.07.31
각각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 전기도금 기술과 무전해도금 기술을 혼합한 복합도금을 실시하여 내마모성과 열응력이 우수한 코팅기술을 개발하여 고온의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산업설비에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1. 서론 2. 복합도금의 이론적 고찰 : 무전해도금, Ni 전기도금, 3. 실험결과 및 고찰 : 도금장치 및 시스...
  • BZA
    BZA · Benzylidene Diacetonol C13 H16 O2 = 204.3 g/㏖ CAS : 성상 : 황색 결정 (저온) 순도 : 99 % ㏗ : 5~7 밀도 : 1.101~1.03 염화칼륨 산성 아연도금 광택제 원료 벤질...
  • AZ31 Mg 합금에서 PEO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피막의 형성거동은 전압-시간 곡선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수산화 이온 (OH) 및 규산염 이온 (SiO32-) 을 포함하는 ...
  • 금 이온을 제공하는 용액 또는 수용성 금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전해 금도금액, 1 : 2~50 이상의 중량비로 아황산염과 티오황산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이온용 착화제 환원...
  • 갈바닉 부식전류 ^ Galvanic Corrosion Current 재료(소재)의 일부가 아노드와 캐소드로 작용하여 서로간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국부 아노드에 의하여 부식을 일으키는 전...
  • 현재 NiSO4 및 Na2WO4 기반 전해질로부터 Ni-W 합금의 전착에 대한 착화제 구연산, 글리신 및 트리에탄올아민(TE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에는 전류효율 측정, 전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