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아연도금 52건
List of Articles
Pstation Data Box · 2019 ⋅ S.I.HONG ⋅
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검색(로그인 필요)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아연은 안트라닐산 (ANA) 과 푸르푸랄 (FFL) 사이에 형성된 축합생성물을 포함하는 비시안화 알칼용 용액으로 부터 전기화학적으로 전착되었다. 도금액 성분 및 도금액변수는 표준 헐셀실험을 통해 최적화 되었다. 3.5 % NaCl 의 전류효율, 침투력, 음극분극 및 부식거동은 첨가제의 최적 농도에서 ...

아연/합금 · Chemical Technology · 15권 2008년 · H.B. Muralidhara · Y. Arthodba Naik 외 .. 참조 9회

아연산염 (징케이트) 욕에 첨가된 유기착체 형성제에 대해서는 종래 부식억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점이 있으므로, 아연산염욕에 일련의 지방족 폴리아민을 첨가하고, 이 전석물형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육안 및 전자현미경 관찰,...

아연/합금 · 일본화학회지 · 2호 1979년 · Daijiro YAMASHI · Isao OHATA 참조 14회

전기 아연도금에 의한 수소 취화거동의 해명과 그 방지책 검토의 일환으로 탄소강의 경도, 결정입도 도금두께와 취성의 관계를 조사

아연/합금 · 바네논문집 · 25호 · Kinji KATO · Setsuo MIYATA 참조 36회

공석된 Fe 을 ICP 에 의한 정량분석을 위한 Al 판을 사용하고, 양극으로는 Pt 판을 이용하였다. 전해시 Pt 양극에 있어서 Fe2+ 가 산화되어 Fe3 가 형성되기 위하여 전해조에는 양극실과 음극실을 유리필터로 격리한 밀폐형 H 형 셀을 이용하였다.

아연/합금 · 철과강 · 93권 1호 2007년 · Hiroaki NAKANO · Satoshi OUE 외 .. 참조 8회

전기 아연도금 강판 성형성의 기본적 데이타를 얻을 목적으로, 시판 판재의 아연도금 두께 10 μm 이하의 엷은 두께에서 두꺼운 두께로 도금된 재료의 여러 성질을 조사 [電気亜鉛めっき鋼板の成形性について]

아연/합금 · 금속표면기술 · 31권 3호 1980년 · Hiroyuki OTSUBO · Tetsuo SHIBANO 외 .. 참조 5회

비시안화물 알칼리성 아연욕에 대한 새로운 첨가제 배합은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한 실험후에 확인되었다. 폴리비닐 알코올 첨가는 테스트된 제품중 최고의 1차 첨가제로 밝혀졌다. 선택된 2차 첨가제는 알데하이드 그룹에 속한다. 첨가제의 선택은 헐셀시험, 음극전류 효율 및 투사전력 연구를 기반...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36권 2006년 · SHANMUGASIGAMANI · MALATHY PUSHPAVANAM 참조 15회

3,4,5 -트리메톡시 벤즈알데하이드 (TMB) 및 키토산 (CTN) 의 축합 생성물 (CP) 을 함유하는 산성 염화욕에서 철강에 아연을 전착시켰다. 욕성분, pH, 전류밀도 및 온도가 도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헐셀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도금액구성 및 작동변수도 최적화되었다. 도금의 밀착력, 연성 및...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5호 2007년 · S. SHIVAKUMARA · U. MANOHAR 외 .. 참조 25회

다양한 실험기법을 사용하여 징케이트 전해액으로부터 아연 전착과정에서 수소발생을 연구하였으며, 수소진화 반응은 전자 전달 단계에 의해 제한되었다. 수소발생은 아연에 비해 철강의 수소과전압이 낮기 때문에 전착 시작후 첫 번째 몇초 동안 가장 집중적이다. 진화된 수소는 세가지 방식으로 ...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8권 1998년 · M. MONEV · L. MIRKOVA 외 .. 참조 21회

아세테이트 전해액의 아연도금과 그에 따른 도금 특성을 다루었다. 도금욕에 티아민염산염과 젤라틴을 첨가하면 아연도금의 내식성과 표면형태가 개선된다. 아연전착에 대해 얻은 XRD 패턴은 육각형 구조의 다결정 특성을 보여준다. 균일하고 기공이 없는 표면은 SEM 분석에서 관찰되었다.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36권 2006년 · R. SEKAR · SOBHA JAYAKRISHNAN 참조 8회

도금산업에서 가장 환경오염부하가 크고 많이 적용하는 아연도금공정의 공정진단 및 분석을 통해 대상기업 아연도금공업의 환경 및 원가개선 방안도출 및 적용을 위한 청정생산실행효과가 큰 우순순위별 단위공정에 최적기술을 적용하였다.

폐수환경통합 · 청정기술 · 9권 2호 2003년 · 이홍기 · 구석본 참조 74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