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황산니켈, 몰리브덴산소다, 구연산소다욕에서의 니켈 몰리브덴 합금전착
조성 범위가 넓은 니켈-몰리브덴 합금을 얻기 위해 몰리브덴 농도가 높은 암모니아 구연산욕에서 합금전착을 시도하고 조, 합금조성인 몰리브덴 농도 음극전류 효율이 전착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합금의 몰리브덴 함량은 욕의 몰리브덴 농도에 비례하여 최대 0.3 mol/l 까지 증가했으며, 캐소...
니켈/합금
·
공업화학잡지 · 63권 8호 1960년 · Hiroto Imanaga ·
참조 21회
|
로단염-염화물계 욕에 의한 구리-주석 CuSn 합금전착
로당-염산염 욕에서 구리-주석 Cu-Sn 합금전착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경도가 높은 아름다운 은백색 표면이 얻어졌다. 전해조의 조성으로 CuCNSO7, NH4CNS 7.0 mol/l, SnCl2 2H2O 20, 40 g/l 를 사용하였다. 전기분해 온도는 Cu : Sn = 3.5 : 1 (중량비)인 경우 45~65 ℃ 이고, Cu : Sn = 1.7 :...
구리/합금
·
공업화학잡지 · 64권 10호 1961년 · Takayoshi Ishiguro ·
참조 24회
|
암모니아성 구연산욕에서 니켈 몰리브덴 합금전착에 있어서 첨가제의 영향
니켈-몰리브덴 Ni-Mo 석출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NH2-, OH-, SO4 그룹, 전착 합금 조성, 전류효율 및 음극전위를 포함한 일부 첨가제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고 비교했다. 음극 전위는 첨가제에 따라 낮은 Dk 에서 더 고귀하게, 높은 Dk 에서 더 많은 염기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분극 ...
니켈/합금
·
공업화학잡지 · 67권 2호 1964년 · Hiroto Imanaga ·
참조 22회
|
플라스틱상에 전기도금법이 개발되고 이것이 급격히 발전을 보게된 단서로는 1950년대 초반에 나타난 양면 프린트배선 기판의 스루홀에 전기 도금과 1962년에 ABS수지에 전기도금이 매우 좋은 밀착력을 보인것이 발견 되었다. 1962년 이전의 플라스틱에의 도금은 플라스틱과 금속 사이에 밀착력은 ...
응용도금
·
공업화학잡지 · 73권 1호 1970년 · Boshin Ro ·
참조 26회
|
철-니켈 합금용 염화철(iii) 에찬트의 연속 전해재생
에찬트 제조공장의 온라인에 맞는 실증실험으로, 재생결과 및 조작조건과 전해액 농도의 영향에 관하여 검토한 보고서
엣칭/부식
·
공업화학논문집 · 22권 6호 1996년 · Yuji Tanimura ·
Takashi Akehata
외 ..
참조 99회
|
전류밀도에 따른 니켈 표면처리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Hull-cell 실험을 실시하여 기본적인 니켈 표면처리공정의 특성 데이터를 산출한 후, pilot 공정을 구성하여 기존공정을 해석하고 대량생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산출된 공정조건을 전해조 내에서 소재의 위치...
니켈/합금
·
공업화학 · 19권 2호 2008년 · 김용운 ·
정구형
외 ..
참조 52회
|
엔지니어링플라스틱상의 도금공정 중 그 중심이 되는 에칭 단계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이 단계가 도금후의 밀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연구하였다.
비금속무전해
·
공업화학 · 10권 1호 1999년 · 노윤찬 ·
참조 55회
|
무기분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응용개발이 가능한 것 중에서 앞으로 이용이 기대되는 전자파차폐용의 전도성 충진재의 제조에 있어서의 도금기술과 분체상에의 도금기술을 무전해도금 노화폐약으로부터의 금속 회수에 응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
도금자료기타
·
공업화학전망 · 2권 3호 1999년 · 장시성 ·
참조 60회
|
절수 유용도금약품의 회수, 재활용을 서둘러 도금폐수배출량을 적게 발생되도록 억제하고 더 나아가서 CLosed System화를 지향하는 노략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폐수처리
·
공업화학과 기술 · 3권 1호 1985년 · 맹중재 ·
참조 47회
|
Lead Frame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도금세정 폐수 중 유가금속 회수
분해 반응과 이온교환 반응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공정을 통하여 반도체 부품 제조시 발생하는 도금 세정 폐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시안을 분해시키고 은, 구리등의 유가금속은 음극에 석출 하고자 하였다 . 역세 공정후에 도탈착 되지 않은 이온들은 다음과 같은 전해조건으로 강염기성 음이온교환 수지...
회수재생
·
공업화학 · 17권 4호 2006년 · 김재용 ·
엄명헌
외 ..
참조 61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