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무전해 니켈-다이아몬드 복합도금에 있어서 입자공석에 영향을 주는 도금의 영향
5 nm 에서 1000 nm 의 크기를 가진 나노다이아몬드 (ND) 입자를 사용하여, 회전원반 전극 (RDE) 를 사용한 도금욕의 복합화에 있어서 영향을 연구
니켈/Ni
·
표면기술 · 68권 5호 2017년 · Kanji MATSUMOTO ·
Kazunori HODOUCHI
외 ..
참조 37회
|
직접 또는 펄스 전류 전착을 이용한 비시안화물 전착 Ag-PTFE 복합 피막
직류 또는 펄스전류를 사용하여 전착된 은 Ag-PTFE 복합 도금에 대한 FC-4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효과를 주사전자 현미경 (SEM), 에너지분산 X선 (EDS), 광학현미경 및 선형 마찰계를 사용하여 연구 하였다. 다양한 비율의 FC-4 : PTFE 를 비시안화 석신이미드은 복합욕에 첨가하였다. 두 방법을 비교...
합금/복합
·
Coatings · 6권 31호 2016년 · Raymond Sieh ·
Huirong Le
참조 97회
|
표면기술 적용의 무전해 Ni-P-TiO2 기본 복합피막
무전해 니켈도금은 지난 10년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도금은 자동차 및 항공 우주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부식, 연마 마모와 관련된 문제를 극복하고 비전도성 물질의 금속 화를 위한 수단으로 이 기술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사용가능한 모든 무전해 니켈도금 공정중에서 가장 ...
합금/복합
·
na · n/a · S. John ·
K.N. Srinivasan
외 ..
참조 35회
|
Fe-Ni-W 합금도금 피막의 내식성에 있어서 열처리의 영향
Na2WO4.2H2P의 첨가량을 바꾸어 5종의 피막을 만든 Fe-Ni-W 합금도금의 3wt % NaCl 부식용액중에 있어서 내식성을 분극곡선 측정으로 평가하였다.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8권 1호 2017년 · Yoshifusa ISHIKAWA ·
Sachio YOSHIHARA
외 ..
참조 27회
|
카본 나노튜브 CNT 복합 전기도금의 응용과 연구
CCE (CNT 복합 전기도금) 는 금속 매트릭스의 용융 및 응고가 유도되지 않기 때문에 CNT 복합 도금을 준비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중 하나 이다. CCE 에 대한 관심은 매우 다양한 금속재료에 적용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순성에 의해 결정 된다. CCE 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장비가 필요하고 대규모로 확장...
합금/복합
·
InTech · 2011 · Guifu Ding ·
Yan Wang
외 ..
참조 38회
|
다이아몬드 분말상에 무전해 Ni-B 도금을 위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다이아몬드 분말상에 pH, 온도 변수에 따른 Ni-B 박막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surfactant 첨가에 따라 입자간 응집 및 Ni 석 출물 억제 등에 관한 영향을 조사
니켈/Ni
·
한국표면공학회지 · 50권 3호 2017년 · 양창열 ·
유시영
외 ..
참조 36회
|
PTFE 복합도금의 지금가지의 보고사례와 공업화된 기술의 설명, 분사제조인 계면활성제의 환경대응사례에 관하여 보고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6권 11호 2015년 · Kenichi NISHIKAWA ·
참조 33회
|
밴드갭 제어 Zn-Ce-O 막의 전기화학적 성형
질산아연과 질산셀륨을 함유한 수용액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은 Ag 막 위에 아연-셀륨-산소 Zn-Ce-O 막을 형성하여, 수용액중의 Ce 농도에 따라 Zn-Ce-O 막의 Ce 함유량, 결정구조, 광학적특성을 X선회절, 전자현미경 관찰 및 반사율을 측정한 시험결과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6권 7호 2015년 · Kentaro NISHIYAMA ·
Takanobu ASAKAWA
외 ..
참조 27회
|
입자경이 다른 마이크로/나노 폴리스틸렌 입자를 이용한 복합 니켈도금에 의한 공석거동의 검토
폴리스틸렌의 입자크기를 0.2 μm 으로 복합도금을 하여, 공석율이 전술한 1.0 μm 일 때와 달리, 설포기를 가진 폴리스틸렌 입자의 공석율이 메틸렌기를 가진 폴리스틸렌 입자에 의하여 크게되는 점을 연구하였다.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6권 7호 2015년 · Isao SHITANDA ·
Satoru WATANABE
외 ..
참조 21회
|
다이아몬드 및 카본나노튜부를 이용한 복합도금막의 열특성
도금의 열특성, 특히 다이아몬드나 cTN을 이용한 복합도금막의 열측성에 관하여 검토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6권 6호 2015년 · Susumi ARAI ·
참조 31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