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610건
전도성 고분자
conductivility polymer

등록 2014.01.18 ⋅ 31회 인용

출처 na, na, 한글 21 쪽

분류 해설

자료 있음(다운로드불가)

저자

na1)

기타

자료

  • 관련자료가 없는 경우 관련사이트 또는 Web에서 검색하십시요.

자료요약
카테고리 : 기술자료기타 | 글입력 : goldbug | 최종수정일 : 2020.12.28
최초로 발견된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으로 그 자체로는 반도체에 불과하지만 이를 요오드로 처리하면 금속에 버금가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이후 플라스틱처럼 휠 수도 있고 가벼운 특성 때문에 전도성 고분자는 화학이나 물리학 분야뿐 아니라 광범위한 산업적 응용성을 갖게 됐다. 사진필름에 쓰이는 정전기 방지...
  • 질산을 사용한 산세척의 억제제를 사용이 최근에 시작되었다. 2M 질산 용액에서 구리 부식에 대한 TBNBI 억제 효과는 온도 (25~40 °C) 및 억제제 농도 범위 10-4~5.10-3 M ...
  • HyPro™ Coat 330 is an organo-mineral finish designed to protect passivated zinc components from severe environments, such as the engine compartments and exterior...
  • 프라스틱 무전해도금용 파라듐 촉매금속으로 스타더스트 와 스킵 도금의 발생이 없어 노브러싱작업을 할 수 있다. 원랙방식으로 도금이 가능하여 자동화 도금에 최적이...
  • 경질 크롬도금의 불량대책 ^ Hard Chrome Plating Trouble shooting 부풀음 소재불량 ⇒ 소재의 핀홀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이 작업중 수소가스 및 패창에 의하여 외부로 돌출...
  • 전기도금 공정 중 초기 핵생성과 성장에 미치는 음극표면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우선 전해동박 생산공정 중 금속 음극 표면산화피막 변화에 주요원인을 찾아 실험조건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