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11108건
List of Articles
Pstation Data Box · 2019 ⋅ S.I.HONG ⋅
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연강에 전착된 Zn-Ni 아연니켈합금도금에 대한 베라트라알데하이드 (veratraldehyde / VRTD)ㅊ와 아미노벤조익산 (p-amino benzoic acid / PABA) 의 축합생성물 (CP) 의 영향은 산성 황산용액에서 연구되었다. 에틸렌디아민아세틱산 (EDTA) 와 세틸트리메틸모늄브로마이트드 (CTAB)...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5호 2007년 · S. SHIVAKUMARA · U. MANOHAR 외 .. 참조 58회

AISI 1010 철강에 아연의 전착에 대한 알칼리 도금욕에 만니톨을 첨가 효과를 설명하고 평가하였다. 다양한 하한 전위를 가진 주기적 전압전류로부터 초기 아연벌크 전착 (wave c0 영역) 이 네거티브 스위프 -1.45 V 에서 발생한다고 결론지었다. 스위프가 -1.60 V 에서 아연 용해에 할당된 만니톨의 유...

아연/합금 · Appl Electrochem · 40권 2010년 · M. F. de Carvalho · W. Rubin 외 .. 참조 30회

비시안화물 알칼리성 아연욕에 대한 새로운 첨가제 배합은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한 실험후에 확인되었다. 폴리비닐 알코올 첨가는 테스트된 제품중 최고의 1차 첨가제로 밝혀졌다. 선택된 2차 첨가제는 알데하이드 그룹에 속한다. 첨가제의 선택은 헐셀시험, 음극전류 효율 및 투사전력 연구를 기반...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36권 2006년 · SHANMUGASIGAMANI · MALATHY PUSHPAVANAM 참조 34회

3,4,5 -트리메톡시 벤즈알데하이드 (TMB) 및 키토산 (CTN) 의 축합 생성물 (CP) 을 함유하는 산성 염화욕에서 철강에 아연을 전착시켰다. 욕성분, pH, 전류밀도 및 온도가 도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헐셀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도금액구성 및 작동변수도 최적화되었다. 도금의 밀착력, 연성 및...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5호 2007년 · S. SHIVAKUMARA · U. MANOHAR 외 .. 참조 39회

황산 염화물 도금액에서 아연전착은 키토산베라트라알데하이드 사이에 형성된 축합생성물의 존재하에 수행되었다. pH, 온도 및 전류밀도와 같은 도금액 성분 및 작동변수는 헐셀실험을 통해 최적화 되었다. 전류효율과 침투력이 측정되었다. 편광연구는 첨가제의 존재하에서 음의 방향으...

아연/합금 · Bull. Mater. Sci. · 30권 3호 2007년 · GANESHA ACHARY · H. P. SACHIN 외 .. 참조 23회

두가지 광택제 (페놀유도체 및 불포화 방향족 화합물) 와 레벨링제 (방향족 카복실산) 를 포함하는 염화욕에서 아연-니켈 합금의 전기도금을 다양한 도금조건에서 연구 하였다. 합금의 구성과 형태는 모든 첨가제의 농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첨가제는 석출을 매끄럽게 하고 입자...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1권 1991년 · R. ALBALAT · E. GOMEZ 외 .. 참조 41회

바닐린과 세린 (VS) 의 축합생성물과 같은 광택제의 존재하에 산성 황산염욕에서 아연니켈합금도금의 전착이 수행되었다. 순환 전압전류법 및 시간 전류법 기술은 핵형성 메커니즘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부식연구를 위한 분극화 및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EIS) 기술을 사용했다. Sc...

아연/합금 · Appl Electrochem · 41권 2011년 · S. Basavanna · Y. Arthoba Naik 참조 22회

다양한 실험기법을 사용하여 징케이트 전해액으로부터 아연 전착과정에서 수소발생을 연구하였으며, 수소진화 반응은 전자 전달 단계에 의해 제한되었다. 수소발생은 아연에 비해 철강의 수소과전압이 낮기 때문에 전착 시작후 첫 번째 몇초 동안 가장 집중적이다. 진화된 수소는 세가지 방식으로 ...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8권 1998년 · M. MONEV · L. MIRKOVA 외 .. 참조 34회

유기첨가제를 포함하는 황산염 전해질에서 주석 전기도금을 연구했다. 광택이 나는 매끄러운 주석 도금을 제조하기 위한 전해질이 개발되었다.

석납/합금 · Applied Chemistry · 76권 3호 2003년 · G. I. Medvedev · L. A. Nekrasova 외 .. 참조 26회

석신산과 말론산을 포함하는 크롬(iii) 황산염 전해질에서 니켈-크롬 합금의 전착 역학을 연구했다. 전기분해 모드와 전해질의 pH가 얻어진 피막의 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20~55 % 크롬을 포함하는 보호 및 장식용 니켈 3가크롬 도금을 얻을수 있는 가능성이 확립되었다.

니켈/합금 · Applied Chemistry · 74권 2호 2001년 · B. A. Spiridonov · A. I. Falicheva 참조 4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