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마그네슘 합금의 접착 강도에 미치는 화성 처리 피막의 영향
접착을 위한 표면 조정으로서 JIS법에 준거한 크로메이트계 화성처리, 크로메이트 프리의 화성 처리로서 마그네슘 합금 표면에 Mn계, Sn계 및 Mg(OH)2 피막 형성을 시도, 접착 강도에 미치는 화성피막, 경화온도의 영향 및 파괴양식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화성피막
·
경금속 · 56권 3호 2006년 · Masashi SEKIGUCHI ·
Chikashi OTANI
외 ..
참조 34회
|
마그네슘 합금과 알루미늄 합금의 첩착 특성에 미치는 화성 피막의 영향
마그네슘합금의 접착의 표면조정에 6가 크롬프리 화성피막으로서 알칼리욕에 의한 Mg(OH)2 피막의 형성을 시도하였고, 이종경금속인 알루미늄 합금과의 접착특성에 미치는 화성피막 및 접착경화온도의 영향, 접착제의 파괴양식에 미치는 화성피막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마그네슘 합금과 알루...
화성피막
·
경금속 · 69권 2호 2012년 · Manabu TAKAI ·
Yukihiro SAKAMOTO
외 ..
참조 51회
|
고전류밀도에서의 탄산칼륨 첨가제의 전해동박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전류밀도에서 탄산칼륨 첨가를 개별적으로 첨가하였을 때 첨가량에 따른 초기 분극 현상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후, 광택제, 평활제를 복합적으로 첨가 하여 전착층의 표면 특성과 물성변화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구리/합금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61권 5호 2023년 · 우태규 ·
박일송
참조 66회
|
알루미늄에 니켈-질화붕소-인과 니켈-질화붕소-붕소의 3원계 복합도금
내마모성과 자기윤할성을 가지는 피막을 얻기 위해서 Ni-P와 Ni-B 무전해도금욕을 택하고 분산제는 윤할성을 주는 grphite 와 같은 층상구조를 가지고 잇고 특히 경도가 높고 비중(2.27)이 낮은 Boron Nitride (BN) 을 사용하여 Ni-P-BN과 Ni-B-BN의 3원계 복합도금층을 얻었다. BN의 공석량에 미치느 ...
합금/복합
·
금속표면처리 · 19권 3호 1986년 · 정우섭 ·
윤병하
외 ..
참조 96회
|
JGB 첨가제에 의한 동박의 미세구조변화와 전기적 특성
높은 전류밀도에서 콜라겐과 JGB 첨가량에 따른 초기 핵생성과정에서의 분극현상과 이 러한 분극현상으로 인한 도금층의 표면 특성 및 결정구조 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에 의하여 전기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구리/합금
·
금속재료학회지 · 59권 6호 2021년 · 우태규 ·
박일송
참조 108회
|
주철의 전해연마 -금속의 전해연마에 관한 연구 (제8편)
주철의 전해연마는 페라이트, 시멘타이트, 흑연 등의 복잡한 조직으로 인해 전착성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특히 전해연마 효과는 주철 표면의 흑연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인산-크롬산욕과 가성소다-중크롬산나트륨욕에서 주철의 전해연마를 조사하였다.
연마/연삭
·
금속표면기술 · 12권 2호 1961년 · Shigeomi MATSUMOTO ·
참조 59회
|
세라믹 전자부품의 응용으로 IC, LSI, VLSI용 패키지, 세라믹기판, 콘덴서 접점저항체, 전극등 패턴형성이 필요하다. 세라믹상의 전극 및 패턴 형성 방법은 Ag, Ag-Pd, Cu, Ni 등의 전도체 페스트나 Ru2O로 대표되는 저항체 페스트를 세라믹에 인쇄 도포하여, 700도 전후에 소결하는 방법이 있다. 세라...
니켈/Ni
·
금속표면기술 · 33권 8호 1982년 · Hideo HONMA ·
Shinya MIZUSHIMA
참조 231회
|
유기첨가제에 의한 구리 도금층의 불순물 농도 제어
평활제 첨가제의 하나인 JGB(Janus Green B)를 구리 도금박막을 제작하여 각각의 JGB 조성에서 표면형상 및 재결정 특성 을 관찰하고 불순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 해 JGB 첨가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도금층의 불순물의 농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
구리/합금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54권 6호 2016년 · 박채민 ·
이의형
외 ..
참조 111회
|
고전류밀도에서 유기첨가제에 의한 구리 전착층의 전기적 특성 변화
일반적으로 구리 전해 도금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가속제(accelerator, brightener), 감속제(suppressor, carrier), 그리고 표면 단차를 제거하여 평탄한 도금층을 형 성하도록 도와주는 평활제(leveler) 등이 사용되며, 가속제로는 SPS, MPSA, DPS, Thiourea 등의 유기 화합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
구리/합금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58권 1호 2020년 · 우태규 ·
박일송
참조 118회
|
착색 피막 처리 기술은 일약성 자원 시대의 중요한 위치를 만들 가능성이 높아져 왔으며, 본래의 장식 목적으로는 이용 범위는 다양하지만 양적으로 미미하다. 스테인레스 스틸 욕조 재료는 수요 분야를 형성을 소개한다.
착색
·
일본금속학회회지 · 18권 4호 · Yataro Saito ·
참조 198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