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3996건
전착 니켈의 미세 구조 및 잔류 응력에 대한 2-부틴-1,4-디올 및 염소 이온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2-Butyne-1,4-Diol and Chloride 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Residual Stress of Electrodeposited Nickel

등록 2024.10.04 ⋅ 59회 인용

출처 materials, 16권 2023년, 영어 16 쪽

분류 연구

자료 있음(다운로드불가)

저자

Ming Sun1) Chao Zhang2) Ruhan Ya3) Hongyu He4) Zhipeng Li5) Wenhuai Tian6)

기타

자료

  • 관련자료가 없는 경우 관련사이트 또는 Web에서 검색하십시요.

분류
자료요약
카테고리 : 니켈/합금 | 글입력 : 화양별곡 | 최종수정일 : 2024.10.04
2-부틴-1,4-디올 (BD) 과 염화물 이온이 전착 니켈의 미세 구조와 잔류응력에 미치는 개별적 및 상승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BD와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설파메이트욕에서 다양한 니켈 층을 제조했다.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된 니켈 층은 첨가물이 없는 도금욕에서 제조되었지만 도금욕의 BD 농도가 증...
  • 침탄 · Carbonitriding ^ carburizing treatment 소재 표면층에 탄소를 확산 침투하며, 처리온도는 850~950 ℃에 처리후 열처리 한다. 적용 소재는 C 함유량 0.2% 이하의 ...
  • PR
    PR법 Periodic Reverse current plating 도금작업시 전류를 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주기적으로 전류의 방향을 (+), (-) 등으로 변화하며 도금하는 방법 참고 [펄스도금] [...
  • 착화구조가 석출속도의 영향에 주목하고, 착화제로서 EDTA 및 그 유도체를 이용하여 석출속도를 지배하는 주요인자를 검토
  • The electrolyte is sulfate based, free of halogenides, and contains, apart from nickel, no heavy metals such as lead or cadmium (RoHS). The electrolyte is long-t...
  • 구리 전기 도금욕에 포함된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페놀설폰산 형태의 페놀이 가장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사용하면 훨씬 짧은 시간에 전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