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합금도금 79건
List of Articles
Pstation Data Box · 2019 ⋅ S.I.HONG ⋅
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검색(로그인 필요)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합금도금이 장식용 반식용 기능용등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어, 최근 이용되는 합금도금의 적용예를 중심으로 소개

합금/복합 · 표면기술 · 46권 1호 1995년 · Hidehiko ENOMOTO · 참조 21회

최근의 장식용 합금도금에 있어서 불순물에 의한 도금의 영향, 불순물의 허용량 및 제거방법에 관하여 해설

금은/합금 · 표면기술 · 40권 5호 1989년 · Masatoshi MARUTA · 참조 40회

도금용액에 특정 유기물질이 첨가된 다양한 금속 및 합금도금을 위한 전기도금 공정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매끄러운 광택마감, 수지상 성장방지 및 넓은 영역에 걸쳐 일정한 도금두께를 포함하여 우수한 도금결과로 높은 도금속도를 만들었다.

아연/합금 · 미국특허 · 1983-4379738 · Paul A. Kohl · 참조 24회

구리, 주석 및 아연의 알칼리성, 시안화물, 수용성 전기도금 조성물은 소량의 니켈을 포함한 용액으로 부터 도금된 구리-주석-아연 도금에 주석의 포함을 향상시킨다. 도금은 부식시험 용액에 의한 변색에 저항하고, 도금이 적어도 약 10.9 원자 중량 % 주석을 포함하기 때문에 광택 은색 외관을 유...

구리/합금 · 미국특허 · 1989-4814049 · Raymond L. Helton · Douglas W. Trobough 외 .. 참조 143회

아연 4~30 g/l 및 니켈 0.05~4 g/l 와 함께 알칼리 수산화물 50~220 g 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아연니켈합금도금용액, 4~110 g/l 의 착화제, 0.1~10 g/l 의 1차 광택제, 0.01~0.2 g/l 의 부스터 광택제, 0.01~0.05 g/l 의 3차 광택제.

합금/복합 · 미국특허 · US 4877496 / 1989.10.31 · Moriyuki YANAGAWA · Shumichi ISHIDA 외 .. 참조 53회

코발트염과 말레산 무수물, 에틸렌디아민 및 에피크로르 히드린의 공중 합체의 신규 복합체와 아연-코발트 합금 도금용 전기도금 조성물.

아연/합금 · 유럽특허 · 1992-546654 A2 · Pranas Dobrovolskis · Gytis-Kazimeras Kupetis 외 .. 참조 36회

주석-아연 합금 전기도금조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 수용성 주석염, 수용성 아연염 및 나머지 물을 포함합니다. 본 발명의 주석-아연 합금 도금욕을 사용하는 경우, 형성된 피막은 전류밀도가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하는 경우에도 균일한 합금조성을 포함한다.

합금/복합 · 미국특허 · 1997-5618402 · Hitoshi Sakurai · Tadahiro Ohuma 참조 47회

전기도금 아연-니켈 Zn-Ni 아연니켈합금도금은 여러 환경에서 철강의 내식성을 개선하는데 특히 중요 하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구성, 구조 및 부식 속도 간의 관계였다.

아연/합금 · Inst.Surf.Engineering · 32권 3호 1999년 · N. R. SHORT · WEN-HUA HUI 외 .. 참조 39회

무정형 니켈인전기도금의 레벨링은 II종 광택제와 화학식 R-COOH (여기서 R 은 수소, 1~5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NH2CH) 를 갖는 유기산과 조합된 상승작용에 의해 달성된다.

니켈/합금 · 미국특허 · 1985-4554219 · Rodger L. Industries, Inc. · 참조 42회

높은 철함량을 가지고 보다 낮은 pH에서 보다 큰 평활성을 가지며, 니켈 이온과의 불용성 품질감성염을 형성하지 않고, 염기성 철염의 침전이 생기지 않는 광택이 있는 니켈-철 이나 코발트-철 합금의 전착 및 이의 조성물

합금/복합 · 한국특허 · 1981-0002127 · 로날드 조세프 라쉬 · 참조 3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