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구리 및 그 합금의 무크롬 부동태화 연구 현황 및 전망
무기 몰리브덴산염 및 희토류염 부동태화, 유기 벤조트리아졸 (BTA)/메틸벤조트리아졸(TTA) 부동태화, 실란 부동태화 및 피틱산 부동태화를 포함하여 구리 및 그 합금의 무크롬 부동태화에 대한 연구 상태를 검토하였다. 비크롬 부동태화 연구의 기존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전망...
화성피막
·
Plating and Finishing · 44권 7호 2022년 · LI Haifeng ·
참조 50회
|
은 Ag 무전해 도금에 있어서 피막 특성에 대한 안정제 첨가의 효과
안정제를 첨가한 무전해 은 Ag 피막의 재료 특성을 분석하였다. 은 Ag 피막의 저항률은 무전해 도금액에 벤조트리아졸 benzotriazole 을 첨가함으로써 크게 증가하였다. 은 Ag 피막의 높은 저항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어닐링 후 급격히 감소했다. Auger 전자 분광법 및 X-선 회절 분석은 benzot...
금/Au
·
Electrochemical Society · 155권 3호 2008년 · Hyo-Chol Koo ·
Jae Jeong Kim
참조 42회
|
시안프리 전기도금 구리-아연 CuZn 합금 피막의 특성에 대한 첨가제의 효과
이산화셀레늄 , 2-메르캅토 벤지미다졸, 벤조트리아졸 중합과 계면활성제 OP-10, 라우릴 황산나트륨, SDBS, 트윈 80 첨가제가 시안화물이 없는 구리-아연 Cu-Zn 합금도금의 광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단일 요소 실험을 사용하였다. 피막의 휘도, 접착력, 외관 및 욕특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구리/합금
·
Plating and FInishing · 41권 8호 2019년 · LI Fujun ·
FANG Shu
외 ..
참조 36회
|
염산에 있어서 구리-니켈 합금의 부식억제로 벤조트리아졸의 흡착 메커니즘
5 % HCl 에서 벤조트리아졸 (BTA) 에 의한 구리부식억제는 다양한 온도에서 중량감소 기법을 조사하였다. 표면 수렴의 최대 값은 35 ℃ 및 15 g/l 억제제 농도에서 BTA 에 대해 0.998 이었고, 낮은 값은 55 ℃ 및 1 g/l 억제제 농도에서 0.868 이었다. BTA 의 구리-니켈 합금표면에 형성된 필름은 Freundl...
엣칭/부식
·
J. Chil. Chem. Soc. · 55권 1호 2010년 · ANEES A. KHADOM ·
APRAEL S. YARO
외 ..
참조 59회
|
구리 및 구리 합금의 크롬 프리 부동태욕의 연구
구리 및 구리합금은 세척후 쉽게 부식되고 변색되어 중량에 영향을 미친다. 크롬 프리 부동태 용액의 효과와 부식저항의 공정을 대조 실험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부동태피막의 내식성은 전기화학 시험기술과 가속부식시험으로 측정하였다. 구리 및 구리합금의 내식성은 부동태화 용액을 사용하여 10...
화성피막
·
Plating and Finishing · 38권 9호 2016년 · ZHAO Simeng ·
HAO jianjun
외 ..
참조 78회
|
구리의 BTA 와 TTA에 있어서 크롬프리 부동태 기술
순수한 구리표면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벤조트리아졸 (BTA) 및 메틸벤조 트리아졸 (TTA) 을 배합하여 순수 구리를 부동태화하고, 순수 구리의 부동태화에 대한 부동태화 온도, 시간 및 pH 의 영향을 분석 하였다. 서로 다른 부동태 용액 및 부동태막의 미세구조 및 내식성을 전기화학...
화성피막
·
Surface Technology · 47권 1호 2018년 · SONG Jiu-long ·
CHEN Wen-ge
외 ..
참조 64회
|
구리 표면에 대한 아졸 Azole 부식억제제의 흡수 기구
구리 Cu 표면에서의 흡착유형을 탐색하고 실험 및 분자 시뮬레이션 관점에서 억제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부식억제제 인 1, 2, 4- 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의 억제성능을 비교하였다. 전위차분극측정을 사용하여 두 억제제의 부식억제 효율을 시험하였다. 흡착등온 피팅 방법을...
화성피막
·
Surface Technolgy · 44권 12호 2015년 · LIAN Bing-jie ·
SHI Ze-min
외 ..
참조 76회
|
무전해 니켈도금의 납 Pb 프리 안정제에 관한 연구
무전해니켈도금을 위한 납프리 안정제를 연구하기 위해, 티오황산소다 Na2S2O3, S1, 황산구리 CuSO4 및 벤조트리아졸의 4가지 안정제를 각각 첨가하고, 이 4가지 안정제의 무전해니켈욕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조사 하였다. S1 은 도금조를 효과적으로 안정화 시킬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을 ...
니켈/Ni
·
Surface Technology · 37권 3호 2008년 · DONG Kun ·
KI De-liang
외 ..
참조 33회
|
억제제의 표면화학을 연구하였으며, 구리 착화를 형성하는 다양한 억제제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실험실의 테스트에는 온도 및 침지시간과 관련하여 최상의 코팅방법을 결정하는 테스트와 가속 노화후 테스트 보드의 납땜도 포함되었다.
기술자료기타
·
Metal Finishing · Jan 1985 · Monica bakszt ·
참조 61회
|
비시안화 전해질로부터 구리의 전착에 대한 첨가제의 시너지 효과 및 그 구조와 형태적 특성
글루콘산소다을 착화제로 사용하여 시안화물이 아닌 전해액으로 부터 구리의 환경 친화적인 전착을 알칼리욕에서 조사하였다. 1,2,3- 벤조트리아졸, 라우릴 설폰산소다, PEG 8000 및 사카린과 같은 첨가제의 효과를 연구했다. 이러한 첨가제는 입자 크기, 입자 경계를 줄이고 구리도금 피막의 표면...
구리/합금
·
중국비철금속학회지 · 27권 7호 2017년 · R. SEKAR ·
참조 36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