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검색글 염화욕 24건
List of Articles
Pstation Data Box · 2019 ⋅ S.I.HONG ⋅
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및 염화암모늄 NH4Cl 의 2종의 첨가제를 deep eutectic solvent 로부터 아연니켈합금도금의 전착에 별도로 사용 하였다. 아연-니켈 Zn-Ni 합금의 전착거동, 조성, 형태 및 부식성능에 미치는 이 두 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해 밝혀...

아연/합금 · Trans. Noferrous Met. Soc. · 20권 2015년 · S. FASHU · Chang-dong GU1 외 .. 참조 74회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는 니켈 Ni 금속분말을 HCl 과 DI-water 를 9 : 1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용해시킨후 chloride 도금용액이 제조되었으며, 용액의 pH, 첨가제 (saccharin) 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주로 연구되었다.

니켈/합금 · 한국표면공학회지 · 48권 3호 2015년 · 윤필근 · 박근용 외 .. 참조 46회

철 및 철-코발트 FeCo 합금을 무첨가 산성 염화물욕에서 전기 성형되었다. 피막응력과 자기특성은 도금전류밀도와 작업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낮은 피막응력과 낮은 보자력 (HC) 은 낮은 전류밀도와 높은 작업 온도에서 달성되었다. SEM 현미경사진은 이러한 조건이 결정성장을 촉진한...

전기도금기타 · Electrochimica Acta · 49권 2004년 · N.V. Myung · D.-Y. Park 외 .. 참조 39회

아연-M (여기서 M = 니켈 Ni, 코발트 Co 및 철 Fe) 합금은 순수한 아연도금에 비해 더 나은 기계적 및 부식 특성으로 인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아연-코발트 Zn-Co 합금도금의 내식성은 펄스도금을 통해 상당히 향상 될수 있다. 이 논문은 펄스전류를 사용하는 Zn-Co 합금욕의 최적화에 대해 자세히 설...

아연/합금 · CHemical Technology · 15권 2008년 · V. Thangaraj · N.K. Udayashankar 외 .. 참조 33회

구리 단결정 표면은 염화물 유무에 관계없이 황산,황산용액에 구리 침착을 원자력 현미경으로 이미지화 하였다. 특이한 면의 모양은 염화물 농도와 적용된 전위에 따라 다르다. 전위에 따라 관찰된 조면화 및 면화전이는 다양하며, 염화물에 의한면 및 테라스 가장자리의 안정화는 열역학적 용어로 분석...

· Electrochemical Society · 147권 3호 2000년 · Q. Wu · D. Barkey 참조 21회

나노 결정질 아연니켈합금도금은 45 ℃ 에서 염화아연 ZnCl2 (50~200 gL-1), 염화니켈 NiCl2.6H2O (50~200 g/L-1) 및 붕산 H3BO3 (40 g/L-1) 가 포함된 염화물욕에서 도금하였다. Voltammetry, chrono potentiometry 또는 EDX 분석에 의해 조사된 초기 합금조성은 도금욕의 조성에 따라 뚜렷한 의존...

아연/합금 · Meterial Tracsaction · 48권 6호 2007년 · Rashid Rizwan · Mazhar Mehmood 외 .. 참조 43회

내식성이 높은 합금도금 강판생산에 적용되어온 아연 Zn-철족금속 이원합금의 전착은 황산염과 염화물 욕에서 수행되었으며 두종류의 욕에서 합금도금 거동을 비교했다. 합금조성의 전류밀도 의존성은 황산염욕에서 비정상적인 석출의 전형적인 특징에서 나타났다. 염화욕에서 전착거동은 염화물이온 농...

아연/합금 · ISIJ Intern. · 33권 9호 1993년 · Hisaaki FUKUSHIMA · Tetsuya AKIYAMAM 외 .. 참조 26회

CuCl2-HCl 매체의 전착은 음이온 교환에 의해 정제된 염화구리 용액에서 구리를 추출하는 깨끗하고 직접적인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조사되었다. 공정의 중요 난제인 음극부식, CuCl 석출 및 석출피막의 거칠기를 고려했다.

구리/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7권 1997년 · T. KEKESI · M. ISSHIKI 참조 33회

두가지 첨가제가 포함된 도금욕에서 얻은 아연니켈전기도금은 형태, 구조, 미세경도, 잔류 응력 및 내식성을 분석을 특성화 하였다. 사카린 첨가에 따른 도금 특성의 변화도 연구되었다. 사카린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도금은 우수한 외관,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높은 내식성을 나타 냈다. 특...

아연/합금 · Applied Electrochemistry · 28권 1998년 · G. BARCELO · E. GARCIA 외 .. 참조 35회

1.0 M 이상의 농도에서 NaCl 로 염화물 이온을 첨가하면 LCD 영역의 두께가 향상되었으며 헐셀 음극의 두께 분포는 LCD 끝에서도 전류효율이 100 % 임을 시사했다. 염화물 이온은 탄소함량이나 도금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편광측정은 수소이온 환원이 Fe 도금보다 더 고귀한 전위에서 발생했...

전기도금기타 · APPLIED ELECTROCHEMISTRY · 28권 1998년 · Y. FUJIWARA · M. IZAKI 외 .. 참조 54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