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Al의 양극 산화에 의한 미세 구조의 형성과 기능화에 관한 최신 동향 버드 나무
금속을 산성 혹은 염기성의 전해액 중에 침지하고, 양극산화를 실시하면 표면에 다공질의 산화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Al의 양극산화에 의해 형성되는 양극산화 포러스 알루미나는, 벌집 모양으로 배열 된 홀 어레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양극산화 포러스 알루미나는 다른 재료에서는 볼 ...
양극산화
·
표면기술 · 74권 4호 2023년 · Takashi YANAGISHITA ·
참조 79회
|
양극 산화에 의한 실리콘 카바이드의 표면 가공
SiC의 전기 화학 반응 활성을 높이는 접근법과 그것을 굳이 극한까지 저하시키는 접근법에 의해 SiC의 양극산화에 임하고, 다공성 구조의 형성, 위치 선택적인 금속 치환도금, 배리어 피막 형성과 그 개요를 소개하였다.
양극산화
·
표면기술 · 74권 4호 2023년 · Kazuhiro FUKAMI ·
참조 65회
|
유리 상에 제작한 산화주석막의 열처리와 팔라듐리스 전기 구리도금
유리 위에 코팅한 산화주석막의 다이렉트 전기구리 도금의 검토 결과에 대해 보고하였다.
구리/합금
·
표면기술 · 74권 3호 2023년 · Satoshi NAGAYA ·
Yoichi OBINATA
외 ..
참조 35회
|
Al의 양극 산화에 의한 미세 구조의 형성과 기능화에 관한 최신 동향
Al의 양극산화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조건하에서 양극산화를 실시하면 세공이 규칙적으로 배열한 양극산화 포러스 알루미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Science 잡지에 보고한 이후, 양극산화 다공성 알루미나가 나노구조 재료로서 널리 인지되어 다양한 기능화에 관한 검토가 진행되어...
양극산화
·
표면기술 · 74권 4호 203년 · Takashi YANAGISHITA ·
참조 56회
|
알루미늄 합금의 2단계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고기능화 기술
접착에 적합한 금속 표면 및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양극 산화 처리와 그 성장 과정 및 저자들이 개발한 접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2단계 양극 산화 처리와 그 특징을 소개 하였다.
양극산화
·
표면기술 · 74권 4호 2023년 · Makoto HINO ·
Norihito NAGATA
외 ..
참조 47회
|
농후 염화칼슘 수용액으로부터의 경질 3가 크롬 도금
진한 염화칼륨 수용액으로부터의 경질 3가 크롬 도금을 중심으로 보고하였다.
크롬/합금
·
표면기술 · 74권 2호 2023년 · Yusuke YOSHIKANE ·
참조 43회
|
전기 화학 측정법을 이용한 시안 프리은 도금 공정의 해석
시안화물이 없는 은전기도금에서 피리미딘 유도체(2,4-피리미딘디온(우라실) 및 5-메틸우라실(티민)) 및 히단토인 유도체(5,5-디메틸히단토인(DMH)) 첨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전기화학적 측정을 사용하였다. 은-티민 착화물의 결합 에너지가 은-우라실 착화물의 결합 에너지보다 더 크다는 것을 발견...
금은/합금
·
표면기술 · 74권 2호 2023년 · Atiqah Binti Jasni ·
Sachio YOSHIHARA
외 ..
참조 44회
|
미세 배선용 신규 무전해 귀금속 도금 공정의 개발과 실장 특성에 관한 연구
무전해 NiPd/Au 도금 공정에서 실장 특성에 미치는 Ni 피막의 박막화의 영향 및 그 메카니즘과 거기에서 얻어진 개선 방향성을 바탕으로 개발한 신규 무전해 초도막 NiPd / Au 도금 공정에 대해 포괄적으로 소개한다.
무전해도금기타
·
표면기술 · 74권 2호 2023년 · Tomohito KATO ·
참조 32회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무전해 도금에 의한 섬유재료의 금속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섬유와 금속 알레르기의 낮은 생체적합성이 높은 귀금속을 하이브리드화하는 메탈라이징법에 관한 최신의 성과를 보고한다. 귀금속으로는 생체 적합성이 높은 백금을 선택했다. 섬유 재료의 대상으로서,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폴리에틸렌테레프...
무전해도금통합
·
표면기술 · 74권 1호 2023년 · Wan-Ting CHIU ·
Hiroki MITSUMOTO
외 ..
참조 124회
|
은 Ag 도금 섬유를 이용한 유연한 전자 디바이스
현행의 디바이스를 웨어러블화 함에 있어서, 필요 불가결이 되는 섬유에의 고신축 도전 배선 형성 기술 및 이를 기초로 하여 개발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은/합금
·
표면기술 · 74권 1호 2023년 · Manabu YOSHIDA ·
참조 122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