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표면처리 개발을 위한 연구/문헌 자료실 (로그인 필요) 이용을 환영합니다. 외뢰어는 기본적으로 한글 표준 발음 (포리머 → 폴리머 / 알카리 → 알칼리)을 사용하였습니다. 많이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관 용어 (Nickel → 니켈) / (신주 / 구리-아연 합금 → 황동)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이상의 합금...
|
전자부품의 내식성에 있어서 하지 Ni 도금의 영향
소재구리합금상의 각종조건하에서 하지 Ni도금을 하고, 최표면에 일정한 조건으로 AU 도금을 한 시료를 만들고, Ni도금의 작성조건이 내식성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한결과로 내식성을 정량적으로 판정하기 위하여, 부식면적을 화상처리장치로 평가하였다.
니켈/합금
·
일렉트로닉스실장 · 14권 4호 2011년 · Yoshihiro TADOKORO ·
Nobutaka TAKEZAWA
외 ..
참조 43회
|
금 Au 도금욕에 있어서 구리불순물의 전해제거에 의한 관리기술
다른전위로 금 Au 도금욕중의 구리불순물 제거를 정전위 전해제거로 하여, 전해채취후 채취전극을 용해아여 ICP 발광분광 분석에 따라 채취물의 정성 정량을 실험
금은/합금
·
일렉트로닉스실장 · 17권 5호 2015년 · Kazuhiro DATE ·
Sachio YOSHIHARA
외 ..
참조 72회
|
Fe-W 합금도금에 있어서 Fe(iii)의 영향과 이온교환막-복수 양극시스템을 이용한 연속도금
Fe-W 철텅스텐합금도금의 장기연속조업을 위해 도금액의 안정성에 주목하여 검토, 특히 Fe-W 합금도금시의 액중 Fe(ii) 발생과 연속작업시의 도금액 및 도금피막의 형태, 도금액의 보관시의 용존산소에 의한 Fe(iii)의 산화방지책, 연속도금에 있어서 이온교환막과 불용성양극 철 및 텅...
합금/복합
·
표면기술 · 67권 9호 2016년 · Kohei ISHISA ·
Tsutomu MORIKAWA
외 ..
참조 63회
|
최근 높은 인용 논문의 대부분은 양극산화 산화티타늄 TiO2 나노튜브 박막에 관한 것이다. TiO2 는 n 형 반도체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광촉매와 광전극 등으로 기대되고 있다. 양극산화에 의해 TiO2 나노튜브 배열막이 얻어지는 태양 전지에서 생체 응용까지 기능막으로서 폭 넓은 용도가 기대되...
양극산화
·
표면기술 · 67권 10호 2017년 · Hiroki HABAZAKI ·
참조 54회
|
양극산화에 의한 아루미나 나노 파이버의 제작과 표면기능화
알루미늄의 피로인산 (탈수중합 2인산, H4P2O7) 양극산화에 의하여 생성된 아루미나 나노파이버의 성장기구와 나노파이버 형성 알루미늄 표면이 발효된 초친수성 초발수성에 관하여 소개
양극산화
·
표면기술 · 67권 10호 2016년 · Tatsuya KIKUCHI ·
Daiki NAKAJIMA
외 ..
참조 48회
|
블라인드 마이크로비아의 충진도금을 통한 산성 구리도금용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금첨가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전도금조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분석하기 위한 전기화학 기술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서프레서, 브라이트너 및 레벨러라고하는 ...
인쇄회로
·
IPC APEX · EXPO Conference · Roger Bernards ·
Mike Carano
외 ..
참조 76회
|
무연 PCB 설계 및 제조 기술 무연 재료 Leed-free 신뢰성 모델 고밀도 상호 연결 (HDI) 모범 사례
교재참고자료
·
McGRAW-HILL · 6th Edition · Clyde F. Coombs ·
참조 65회
|
무전해 구리 Cu 도금층의 두께와 표면조도에 미치는 도금조건의 영향
무전해 도금층의 두께는 물론 도금층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각종 도금조건 (피도금재의 초기 거칠기, 초음파조사, 도금시간) 의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구리/Cu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54권 4호 2016년 · 이기환 ·
박상진
외 ..
참조 82회
|
균일한 알칼리아연 피막 전기도금에 대한 고전류밀도
착화제인 아니스알데하이드와 Lugalvan P 를 아연조에 첨가한 전기도금욕을 관리하였다. 알칼리 아연 도금층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분석하고 재료특성도 조사한다. 선형전압 전류법을 이용한 아연 도금의 전기화학적 분석은 전착전위를 구하고, 방전법 (CP) 의 방전 효율을 얻기위한 것이었다. ...
아연/합금
·
MATEC · ICPMMT 2017 · Allen Bai ·
Kai-Lin Yang
외 ..
참조 47회
|
산성 염화욕에 있어서 아연 전착 연철에 관한 티오우레아와 덱스트린의 효과
전기도금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1차 및 2차로 분류되며 항상 조합하여 처음에 광택도금에서 광택을 유지한다. 대부분의 1차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습윤제, 레벨러) 인 반면 2차 첨가제는 광택제로 방향족 및 지방족 알데하이드, 케톤, 황함유 화합물 및 알킬 아릴암모늄염과 같은 유기 화합물이다. 1차 ...
아연/합금
·
Electrochem. Sci. · 8권 2013년 · C.A. Loto ·
R.T. Loto
참조 57회
|